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자 『도덕경(道德經)』에 나타난 자유 개념: 자유의 존재·관계·행위 차원과 지도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Freedom in Lao-tzu's 『Tao Te Ching』: Focusing on the existence, relationship, and action dimension of freedom and the role of leader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5
29P 미리보기
노자 『도덕경(道德經)』에 나타난 자유 개념: 자유의 존재·관계·행위 차원과 지도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75권 / 2호 / 33 ~ 61페이지
    · 저자명 : 조재형

    초록

    현재 한국 사회의 많은 문제는 우리가 옳은 방향이라고 믿었던 자유를 추구한 결과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더 나은 사회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유에 대한 새로운 고찰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신․자연․인간의 관점에서 착안해, 자유를 존재․관계․행위 차원으로 나누어 접근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존재론 차원에서 노자는 우리가 자연의 생명력이라는 하나의 근원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빈곤의 책임이나 부의 권리를 온전히 개인에게 귀속시키는 관점 역시 나타나지 않는다. 둘째, 관계론 차원에서 노자는 자연을 배움의 대상으로 생각했으며, 지배․소유의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도덕경에서 성인은 공을 이루고도 대가를 바라지 않는 모습으로 묘사한다. 마지막으로 행위론 차원에서, 노자가 볼 때 인간은 외부 지식․욕망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소유․지배욕을 끊임없이 비워야 한다. 그 대신 자연을 통해 우리가 생명이라는 공통성을 공유한다는 점을 깨달을 때, 공동체 속에서 건강한 성장을 해나가며 나에게 주어진 잠재력을 발휘하여 만물의 번창함에 기여하는 삶을 완성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볼 때, 노자의 자유란 한편으로 건강에 반하는 욕망에 휩쓸리지 않는 자제력,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으로부터 부여받은 신체․정서 건강의 충분한 발현과 관련이 깊다. 이러한 관점은 도파민과 쾌락 중독, 세로토닌이 주는 자제력과 평온함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매우 현대적이다. 한편 이상사회를 형성하기 위해 노자가 제시한 방안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무엇보다 지도자가 검소하고 공동체 문제에 솔선수범해야 한다. 둘째, 사람들이 욕심에 휩쓸리지 않도록 사회보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지도자가 먼저 욕심을 비우고 구성원을 돕기 위해 헌신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구성원들 역시 과도한 복지 지출 요구는 줄이면서도, 각자의 개성에 따라 공동체에 헌신하고 기여하며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Many of the current problems in Korean society stem from the pursuit of freedom, which we believed was the right direction.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into a better society, new considerations on freedom are needed. In this study, from the viewpoint of God․nature․human beings, freedom was approached by dividing it into existence․relationship․action dimens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ontological dimention, Lao Tzu thinks that we originate from one source, the vitality of nature. Therefore, there is no view that the responsibility of poverty or the right to wealth are entirely attributed to the individual. Second, on the relational dimention, Lao-tzu considered nature as an object of learning and did not consider it as an object of possession. In Tao Te Ching, sages are portrayed as not wanting anything in return even after they achieve their achievements. Third, on the action dimention, in Lao Tzu's view, human beings are very vulnerable to external knowledge and desire.
    Therefore, he must constantly empty himself of the desire to dominate nature. Instead, when we realize that we share the commonality of life through nature, we can complete a life that contributes to the prosperity of all things by fulfilling the potential given to us while growing healthy in a community.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Lao Tzu shows that freedom can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self-control not being swept away by possessiveness, empathic ability to sympathize with all things, and potential given by nature. This view is modern, even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such as dopamine and serotonin.
    Finally, Lao-tzu suggested two ways to form an ideal society. First, above all else, leaders must be frugal and take the lead in community issues. Second, we need to establish a social security system so that we can not be swept away by money. Therefore, if the leader empties his greed and devotes himself to protecting the lives of members, members will be able to devote themselves to the community, contribute to it, and promote happines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