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隨槎日錄』을 통해본 홍경해와 에츠 슈(越緝)와의 필담과 그 의미 (Written conversation between Hong Kyung-hae(洪景海) and Etsu shu(越緝) from Susaillok(隨槎日錄))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03
26P 미리보기
『隨槎日錄』을 통해본 홍경해와 에츠 슈(越緝)와의 필담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5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황현우

    초록

    자제군관 자격으로 무진사행(1748)에 참여했던 홍경해(1725~1759)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직책으로 인하여 일본 사행 노정에서 여러 일본 문인들과 대화를 나눌 기회가 많았다. 특히 이 중에서도 정주학을 존숭하는 일본 문인 에츠 슈(越緝)와 여러 주제로 필담을 나누었던 내용이 『수사일록』에 많은 분량으로 기록되어 있다.
    홍경해는 에도(江戶)에서 만난 에츠 슈를 처음에는 경계했으나 그가 홍경해가 도착하기 이전부터 통신사의 문사들을 만나보고 싶다는 열망을 내비친 점, 정주학을 힘써 존숭하는 태도와 조선의 예악문물에 대한 동경의 마음을 가졌던 점 등을 높이 평가했다. 이를 통해 에츠 슈에게서 일본의 예악문물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포착하였다. 이후 이러한 동류의식과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여러 필담을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그는 에츠 슈에게 현재 일본 천황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통신사로 선발된 문인들은 파견 이전 관련 서적을 익숙하게 읽어 천황에 대해 어느 정도 지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문사들은 약 1000년이나 지속되었던 천황의 독특한 양위제도인 인세이(院政)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
    그는 고의학파의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와 그의 저서 『동자문』에 대해 언급하며 정주를 헐뜯고 특이한 말을 앞세운다라고 비난하였다. 겉으로는 주자학를 존숭하는 태도를 보이며 통신사와 필담을 나눈 나카무라 란린(中村蘭林)에 대해서도 겉으로는 주자학을 존숭하지만 이토 진사이의 무리와 같다라고 비난하고 에츠 슈와의 필담에서 그의 학술적 경향을 확인하는 모습을 보인다.
    무진사행의 두 사람 간의 필담은 18세기 통신사 문인들과 일본 문사와의 문학교류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는 점, 조선의 시각과 필터로 바라본 천황 양위제도에 대한 인식, 고의학파에 대한 비난이 경계와 탐색으로 이어지며 또다른 유파인 고문사학파에 대한 경계와 탐색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할 것이다.

    영어초록

    Hong Kyung-hae(洪景海), who participated in the Mujinsahang(戊辰使行) in 1748, had many opportunities to talk with various Japanese writers due to his free position. It is recorded in “Susaillok(隨槎日錄)” in a large amount of content that he had written talks with Etsu shu, a Japanese writer who respects Zhu Zhuology(朱子學), on various topics.
    In Mujinsahang(戊辰使行), Conversation by writing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an aspect of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writers and Japanese writers in the 18th century, a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Emperor's Yangwi(天皇讓位) system and criticism of koeuihakpa(古義學派) lead to vigilance and search for another sect, komunsahakpa(古文辭學派).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