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화엄경소초』의 판각과 「영징이본대교(靈澄二本對校)」본의 의의 (Engraving the 『Hua um kyung so cho(華嚴經疏鈔)』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nd significance of 「Yeongjingibondaegyo(靈澄二本對校)」 text)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08
41P 미리보기
조선 후기 『화엄경소초』의 판각과 「영징이본대교(靈澄二本對校)」본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53호 / 81 ~ 121페이지
    · 저자명 : 강현찬

    초록

    조선 후기에 『대방광불화엄경소초(大方廣佛華嚴經疏鈔)』(이하 『화엄경소초』)는 1690년 징광사, 1775년 영각사, 1856년 봉은사 총 3번 판각된다. 조선 후기에 판각된 『화엄경소초』는 이전의 연구를 통해서 세 판본의 판각 경위, 각 판본의 서문・발문・간행질, 그리고 판각이 미친 영향 등에 대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오류도 몇 군데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으로는 봉은사본(奉恩寺本)의 인자호(人字號)에 실려 있는 「화엄합본삼간후서(華嚴合本三刊後序)」와 「영징이본대교(靈澄二本對校)」가 있다. 특히, 「영징이본대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인지 파악되지 않았었다.
    「화엄합본삼간후서」에서는 봉은사본 『화엄경소초』의 판각 배경을 살펴 볼 수 있으며, 「영징이본대교」에서는 영각사본(靈覺寺本) 『화엄경소초』와 징광사본(澄光寺本) 『화엄경소초』, 두 판본을 대교하여 차이가 있는 글자를 정리하였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690년 징광사본이 판각되기 이전에 『화엄경소초』의 전래와 세 판본의 판각 배경 등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영징이본대교」를 분석한 결과 첫째, 봉은사본은 영각사본의 복각이 아니며, 징광사본을 복각한 것이며, 둘째, 영각사본은 징광사본에서 잘못 된 부분을 교감하여 판각한 판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background of three different volume of 『Hua um kyung so ch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Dae bang guang bul hua um kyung so cho』 was engraved three times : at Jinggwangsa(澄光寺) in 1690, at Yeonggaksa(靈覺寺) in 1775, at Bongeunsa(奉恩寺) in 1856. It show us the process and effects of woodcutting which indicate the preface, postscript, and quality of each scriptures. However, there are some part which cannot be handled previously, that is, 「Hua um hap bon sam gan hu seo(華嚴合本三刊後序)」 and 「Yeongjingibondaegyo(靈澄二本對校)」 on the In-Ja-Ho(人字號) at Bongeunsa. Especially, the explanation of 「Yeongjingibondaegyo」 was not found so that the specific contents are still unknown.
    In 「Hua um hap bon sam gan hu seo」, I examine the background 『Hua um kyung so cho』 at Bongeunsa. Also, in 「Yeongjingibondaegyo」, I compare the 『Hua um kyung so cho』 at Yeonggaksa with that of Jinggwangsa, confirming the different letters between two scriptures As a result, I can draw two conclusion : First, the volume of Bongeunsa is not the reproduction of Yeonggaksa, but that of Jinggwangsa. Second, the volume of Yeonggaksa is published by proofreading the volume of Jinggwang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