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중국불교사에 보이는 사익범천소문경(思益 梵天所問經)의 위상에 관한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Brahmaviśeṣacintīparipṛcchā (思益梵天所問經)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3.04
28P 미리보기
초기 중국불교사에 보이는 사익범천소문경(思益 梵天所問經)의 위상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64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최은영

    초록

    본 연구는 『사익경』에 관한 서설적(序說的)인 연구로 중국불교학자들의 관심을 따라가면서 중국불교에서의 『사익경』의 위치를 고찰해본 것이다. 최초기에 발견되는 서문이나 『대지도론소』 등에 서술된 내용을 통해 중국불교학자들의 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5시 교판에서 반야와 방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대지도론』에 인용된 『지심경』 문장을 통해서 문헌의 수정가필을 확인하는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대지도론』에 인용된 『지심경』은 『사익경』이 한역된 이후에 수정보완되는 과정을 거쳤다. 이것은 처음 구마라집이 번역할 당시에는 『사익경』이 없었으며, 구마라집이 『사익경』을 번역한 후 구마라집 혹은 다른 사람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사익경』의 용어나 내용으로 교체되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북지의 지도론사였던 혜영의 『대지도론소』를 통해서 법성과 불성을 융합하려고 하는 모습이 『지심경』 관련 해석 내용에서 드러난다.
    둘째, 동일하게 공, 반야(바라밀), 보살행 등을 주요한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도, 교판에서 반야경과 구별되는 방등경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사익경』을 중심으로 따라가면서, 방등시와 반야시를 어떻게 구별하고자 했는지 살펴보았다. 『사익경』은 공종(空宗)으로 반야경을 설하는 때 함께 서술되기도 하지만, 반야의 차제를 논하면서는 구분되기도 한다. 북지에서는 『사익경』을 『능가경』과 더불어 여래장 계통의 경전으로 보는 학자도 있었다. 그러나 교상으로서도 완전하게 분리되기 어렵고, 시간의 차제를 논할 때에도 일관되지는 않으므로 점차 비판을 받게 된다.

    영어초록

    The Brahmaviśeṣacintīparipṛcchāa (hereinafter referred to as Bp), composed at India on the basis of the ideas of emptiness and non-duality, was translated earlier into Chinese under the title of Chixinfantiansuowenjing (持心梵天所問經) by Dharmarakṣa (竺法護). This sutra belongs to the first group of Mahayana scriptures composed earlier than the completion of the Lotus Sutra, since it is supposed to have been composed at the same time as the VimalakīrtiNirdeśa. This sutra has been us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riptural references in the Indian and Tibetan commentaries belonging to the traditions of Mādhyamaka and Yogācāra, although it has not been studied as to its status and importance in East Asia. This study of Chinese versions of it reveals the following two features.
    Firstly, the original text of the Bp cited in the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大智度論) was corrected and compensated since its full translation into Chinese. That is, at the time of Kumārajīva's translation of the latter work, there was no translation of it so that the terms and contents related to the Bp might have been substituted into it by himself after his translation of the sutra or by others.
    Secondly, the Bp, cited in the theories of doctri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5 periods by Chinese Buddhist scholars, reveals the perspective of separating Vaipulya and Prajñāpāramitā teachings. In addition, in the northern region of China, there were, we have ascertained, scholars who regarded this sutra as belonging with the Lankavatara Sūtra to the tradition of the Buddha nature within each sentient being. Especially, there were evidently some Buddhist scholars who interpreted this sutra in closer relation with Buddha nature.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can be an exemplary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Vaipulya scriptures composed at India into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