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般涅槃經後分』 연구 (A Study on Daebanyulbangyunghubun(大般涅槃經後分))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08
32P 미리보기
『大般涅槃經後分』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3호 / 131 ~ 162페이지
    · 저자명 : 김지영

    초록

    『대반열반경후분』(이후 『후분』)은 『석보상절』 열반상 서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경전이다. 이는 『후분』이 대승 열반경 중 유일하게 붓다 열반기를 열반에서 분사리까지 전체적으로 서술하고 있고, 서술이 붓다의 대자비와 초월성, 신앙성에 기반을 두었다는데 있다.
    『후분』의 이러한 특징은 대중 불전인 『석보상절』의 경향과 조화될 수 있는 것이다. 『후분』은 초기 열반경의 내용을 기초하고 있지만, 차별성은 「유행경」과 『유부율잡사』의 새로운 전개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유행경」의 救世的 단초와 『유부율잡사』의 업의 관점, 그 이외의 몇 가지 서술이 그것이다.
    『후분』은 새로운 요소를 차용하고, 독자적인 이야기를 창작하여 차별화된 불전을 찬술해 내고 있다. 『후분』은 붓다의 자비력과 신력을 극대화 시키고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사리신앙을 향한 것이다. 붓다의 대자비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일화로는 황금색신의 시현과 금관의 비행 등이 있다. 『후분』의 이러한 토대에는 법신상주사상이 놓여 있다. 『후분』의 독자적 서술은 다시 『석보상절』에서 새롭게 전개되고 있다. 여기서 붓다는 우리곁에 살아 존재하는 붓다이다. 따라서 귀의와 신앙은 보다 쉬워진다.
    『석보상절』의 독창성은 붓다 열반에 대한 우주적 징후, 세속적 윤리의 실천자로서의 붓다, 절대 신앙의 대상으로서의 붓다 등이 그것이다.

    영어초록

    Having a unique position as a Mahayana Parinirvana Sutra, Daebanyubangyunghubun(Dabanniepanjinghoufen, Daebanyubangyunghubun in Korean corresponds to Dabanniepanjinghoufen in Chinese.
    大般涅槃經後分) is noted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okbosangjeol(釋譜詳節). The reason that the description of Seokbosangjeol was based on that of Daebanyubangyunghubun lies in the range and contents of the Sutra.
    In other words, Daebanyubangyunghubun is the only one which describes Buddha's Nirvana as a whole and tells us the circumstances of the occasion. And Seokbosangjeol is said to be founded on the sublimation and faith of Buddha. The characteristics of it could be harmonized with the compilation of Seokbosangjeol aiming at the public.
    Daebanyubangyunghubun contains many developed elem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arly Parinirvana Sutra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utras, the author shortened the stories or created new ones for its purpose. The difference seems to proceed from the Youxingjing(遊行經) and Youbuluzashi(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雜事).
    With these new developments, Daebanyubangyunghubun maximized the compassion and supernatural powers of the Buddha in the story, ultimately targeting the Sarira faith.
    The narrations where Buddha's great compassion are clearly displayed are the story of the golden body, gold coffin flight, 3 sermons during the process of death, etc.. His life is for the sake of all creatures. He has only compassionate aims. His deeds are entirely expedient. These thoughts of Daebanyubangyunghubun is founded on the idea of Dharmakaya, Daebanyubangyunghubun especially emphasizes on the construction of Buddha statues, pagodas and Buddha offerings. The reason why Buddha statues have to be made is that it is like the alive Buddha. And Buddha said that after He died there must be something which people would believe in and worship as a substitute of Him.
    Daebanyubangyunghubun is thought to be a collection compiled to explain the interpretation of Buddha's Nirvana and the beginning and rationale of Sarira faith. It can be told from the Buddha’s last speech. The new and discriminatory descriptions of Daebanyubangyunghubun are developed in Seokbosangjeol. Buddha in Seokbosangjeol is the savior that ultimately transforms into a religious god. The originality of Seokbosangjeol is shown in the cosmic signs of Buddha's Nirvana, and Buddha being as a person of secular ethics, and as the object of absolute fai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