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수경(狐首經)』의 문헌적 연구 (A Philological Study on Hushoujing(狐首經))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0.02
20P 미리보기
『호수경(狐首經)』의 문헌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19권 / 1호 / 51 ~ 70페이지
    · 저자명 : 장성규, 김혜정

    초록

    『호수경』은 한대(漢代)의 백학(白鶴)이 쓴 것으로 전해지는 풍수경전(風水經典)으로 한국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인 백학은 청오자(靑烏子)처럼 그 인물에 대한 고증이 명확하지 않다. 한대의 백학이 지었다는 판본이 『지리통일전서(地理統一全書)』에 있는데, 이 책은 1628년에 출간되었다. 편자는 여상두(余象斗)로 알려져 있는데 그는 복건성 건양현 사람으로 주자(朱子)와 동향이다.
    현재 『호수경』이 주목받는 이유는 그 내용과 형식에서 『청오경』및『장서』와 깊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청오경』ㆍ『장서』ㆍ『호수경』의 관계는 앞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혹자는 『장서』에서 인용한 경전의 내용이 『청오경』이 아니라 『호수경』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호수경』이 풍수지리 연구에서 관심을 끄는 또 다른 이유는 이기론과 관련된 내용 때문이다. 『호수경』에서는 형기론에 대한 언급과 함께 자침(磁針)에 대한 설명 및 득수(得水)와 파구(破口)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는데, 그것은 이기론의 주요 내용과도 직결되는 부분이다. 『호수경』은 형세(形勢)와 이기(理氣)가 모두 중요하다는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호수경』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기론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송대(宋代)의 문헌에는 『호수경』에 대한 언급은 물론 이에 대한 주석본이 있었음이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호수경』은 송대 이전에 만들어진 문헌일 가능성이 높다.
    『호수경』의 판본은 『지리참찬현기선파집(地理參贊玄機仙婆集)』ㆍ『지리통일전서(地理統一全書)』ㆍ『역대지리정의비서이십사종』ㆍ『형가이십종』에 수록된 4종류가 전해지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의 세종조 기록에도 『호수경(狐首經)』에 관한 내용이 실려있다. 이것은 『호수경(狐首經)』이 조선 초기에 대표적으로 통용되던 지리서였음을 의미한다. 『호수경』에 대한 연구는 풍수지리 이론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는 물론 풍수지리학사나 나반연구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것임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Hushoujing(狐首經) is Fengshui documents traditionally known to be written by Baihe(白鶴) of Han(漢) dynasty, which is hardly known in Korea. Baihe, the author, like Qingwuzi(靑烏子) has no evident personal background in history.
    There is a copy known to be written by Baihe of Han dynasty included in Dilitongyiquanshu(地理統一全書), which was published in 1628. The editor is known as Yuxiangtou(余象斗) from Fujiansheng(福建省) Jianyangxian(建陽縣) the same home town as Zhuxi(朱熹)'s.
    In contents and system, Hushoujing has the deep(profound) relationships between Qingwujing(靑烏經) and Zangshu(葬書), which attracts attention nowadays. Stud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Qingwujing, Zangshu and Hushoujing is the realm which requires systematic approach.
    Another reason for Hushoujing's attraction in Fengshui research lies in the contents related with Liqilun(理氣論). Mentioning Xingqilun(形氣論), Hushoujing also includes the explanation of Chinese compass needle, Deshui(得水) and Pokou(破口), and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main theme of Liqilun.
    Hushoujing reveals a view point that both Xingqi(形氣) and Liqi(理氣) are important. Accordingly this means that we can understand Liqilun more clearly through studying Hushoujing. It is clearly recorded in the documents of Song(宋) dynasty that there was odd notes documents of Hushoujing as well as mentioning it.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hat Hushoujing had been written before Song dynasty.
    Being contained in Huxianshengyinyangbeiyong(胡先生陰陽備用), Dilicanzanxuanjixianpoji(地理參贊玄機仙婆集), Dilitongyiquanshu, Lidaidilizhengyimishuershisizhong(歷代地理正義秘書二十四種), Xingjiaershizhong(形家二十種), 5 kinds of Hushoujing‘s copies are descended.
    The contents of Hushoujing are also introduced in documents of sejong perio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This means that Hushoujing is the geographical books prevailed representatively in early years of Choson Dynasty and studying Hushoujing is indispensible to studying Fengshui history or Chinese compass(羅盤) as well as deep understanding of Fengshui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