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도대본 「華嚴經文義要決問答」에 대하여 (On the Kyotodaibon(京都大本) Hwaeomkyeongmunuiyogyeolmundap(華嚴經文義要决問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12
25P 미리보기
경도대본 「華嚴經文義要決問答」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1
    · 수록지 정보 : 서지학보 / 38호 / 115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성주, 우석

    초록

    「화엄문의요결문답」은 신라의 스님인 表員이 편집한 화엄경과 화엄교학에 대한 개론서이다. 이 문헌에 대한 기록이나 저자인 표원에 대한 기록은 한국 측에는 전혀 보이지 않으나 일본에서는 이 문헌의 이본은 물론, 정창원문서와 화엄 관련 문헌 등에 기록을 남기고 있다. 현재 이 문헌의 서명으로는 「대일본속장경」에 실려 있는 서명인 ‘華嚴經文義要決問答’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지만 현재 남아 있는 이본들을 살펴보면 이 문헌의 서명은 ‘華嚴文義要決問答’으로 볼 수 있다. 이 문헌에 대한 이본은 현재 6개가 남아 있으며 현대 활자본 2개가 있다. 현전하는 이본은 ① 佐藤本, ② 延曆寺本, ③ 四聖藏本, ④ 龍谷大本, ⑤ 京都大本, ⑥ 松原文庫本 등이다. 활자본은 「대일본속장경」과 「한국불교전서」에 실려 있는 수록본이다. 경도대본은 「卍藏經」을 편집․출판하였던 京都의 藏經書院에서 「대일본속장경(만속장경)」을 만들면서 ‘華嚴文義要决問答’을 수록하기 위해 사용한 원고본이다. 경도대본의 저본은 용곡대본이며 용곡대본의 저본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용곡대본은 현재 남아 있는 사토본, 연력사본과는 계열이 다른 문헌이다. 경도대본은 쿄토의 장경서원에서 「卍藏經」을 만든 이후 「卍續藏經」을 출판하기 위한 원고본이다. 경도대본의 저본은 용곡대본임을 알 수 있는데 용곡대본의 오류가 경도대본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경도대본은 만속장경에 수록되는 「화엄경문의요결문답」을 편집하기 위해서 적어도 네 차례 이상의 교정을 보았는데 1차 교정은 주황색, 2차 교정은 감청색, 3차 교정은 빨간색1, 4차 교정은 빨간색2로 표시되었다. 경도대본과 만속장경을 대교해 보면 교정과 관련해서 다음의 4가지 유형을 볼 수 있다. 유형 Ⅰ은 경도대본에는 아무런 교정도 없으나 만속장경에는 교정이 된 경우, 유형 Ⅱ는 경도대본에서 교정된 내용을 만속장경에서 본문이나 주석으로 반영한 경우, 유형 Ⅲ은 경도대본의 교정 사항을 만속장경에 반영하지 못한 경우, 유형 Ⅳ는 경도대본의 오류를 만속장경에서도 여과 없이 그대로 두어서 결과적으로 오류를 일으킨 경우이다.

    영어초록

    Hwaeommunuiyogyeolmundap(華嚴文義要决問答) is an introduction to Jubon Hwaeomgyeong(周本 華嚴經), which was edited by Pyowon(表員). He was a Silla Buddhist monk in Hwangryongsa(皇龍寺) but we can not see any record on him and his book title in Korean records. In Japan, however, we can find out both of them from between the Syosoin Documents(正倉院文書) and some Buddhist chronicals or catalogues. The title of this book is generally known as Hwaeomgyeongmunuiyogyeolmundap(華嚴經文義要決問答) because it was the public title used in the publishied Dainipponsokujoukyou(大日本續藏經). There are the 6 variants of this book in Japan, which are Satobon(佐藤本), Yenryakujibon(延曆寺本), Siseijoubon(四聖藏本), Ryukokudaibon(龍谷大本, hereafter RB), Kyotodaibon(京都大本, heareafter KB), Matsubarabunkobon(松原文庫本) etc. Moreover, there are two printed editions which are Dainipponsokujoukyou(大日本續藏經, hereafter DSK) and Hankukbulgyojeonseo(韓國佛敎全書) versions.
    KB is a manuscript of DSK and RB is a original version of KB. We can see the fact through the same errors in KB, RB and DSK. The editor of DSK read the proofs at least four times; the first proofread is written with a orange color pen, the second as yellowish green color pen, the third and fourth as red color pen. When we compare KB with DSK, we can notice the four types of proofreads; Type 1 is no proof in KB but proofs in DSK, Type 2 is proofs both in KB and in DSk, Type 3 is proofs in KB but no proof in DSK, and Type 4 is same errors both in KB and in D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