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쟁의 속틀과 열반의 겉틀, 그리고 ‘우리’말 이해 (Hwajaeng(和諍), Nirvāṇa(涅槃) and Understanding of Woori(우리) in Korea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8.10
27P 미리보기
화쟁의 속틀과 열반의 겉틀, 그리고 ‘우리’말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18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원명

    초록

    이 글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둘째, 화쟁의 틀을 열반과의 관계 속에서 밝히며, 기존의 화쟁 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은 화쟁의 술어들을 밝혀 제시하였다. 셋째, 화쟁과 열반에 대해 ‘우리’란 우리말로 해석하였다. 논자는 화쟁사상을 대승(大乘) 일심(一心) 열반(涅槃) 무장무애(無障無礙)법계의 속틀과 화쟁이라는 겉틀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열반종요』를 중심으로 열반과 화쟁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논자는 원효의 불교 이해가 당시 우리말에 바탕한 것이고, 그것을 다시 한자로 투사해 표현한 것이 화쟁이라는 해석학적 가정 하에, ‘우리’란 말로 해석하는 시론(試論)을 전개하였다. 그 요약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화쟁의 속틀인 열반의 특징들은 세 가지다. 첫째, ‘어떤 꼴이 없다. 그래서 어디에도 두루한다.’[無方無不當] 둘째, ‘특성과 모양을 여의고 온대로 비밀스럽게 감추어져 있다.’ [離性相如來秘藏] 셋째, ‘넓고 크면서 아주 깊고 아주 멀며 끝이 없다.’ [廣大甚深深遠無限] 2) 열반의 겉틀인 화쟁의 특징들은 세 가지다. 첫째, ‘서로 어긋나거나 서로 막힘이 없다.’[不相違不相妨] 둘째, ‘모두 도리가 있다’[皆有道理], ‘잘 통한다’[善通], ‘다 얻는다.’[悉得] 셋째, ‘전체와 부분이 막힘이 없으나 같지도 않다.’[總別無所障礙不同] 3) 화쟁을 ‘우리’ 말로 해석하였다. 우리는 ‘큰 하나’다. ‘작은 하나’로 사는 것은 ‘우리’로 사는 것이 아니다. ‘작은 하나’이면서 동시에 ‘큰 하나’로 사는 것이 ‘우리’로 사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런 ‘우리’의 이해 속에서 원효가 꼴을 부정하면서, 부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정 속에서 지극한 긍정, 큰 긍정에로 나아가는 것은 바로 ‘우리’에서 ‘나’가 부정되고 ‘큰 나’로 나아가는 구조의 틀에서 이해된 것이라 볼수 있다. 원효가 이해한 ‘우리’는 ‘나 없는 지극한 나요’[無我之至我], ‘나 아닌 큰 나’[不我之大我]다. 그래서 불교의 핵심을 이치 없는 지극한 이치요[無理之至理], 그러하지 않은 큰 그러함[不然之大然]으로 이해하고, 이런 말들을 만들 수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우리’들 속에서는 다양성과 차이가 서로 어긋나지 않으며[不相違], 모두 도리가 있고[皆有道理], 잘 통하며[善通], 다 얻을만한 게 있어[悉得], ‘조화로운 겨룸’[和諍]으로 이해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원효는 ‘우리’들 세계에서 나/남을 모두 살리고 함께 살아(살아남)/사라(사라짐) 어울리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본 것이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problem of the premise of Hwajeang(和諍) & the premise of Nirvana clear, to interpret them into understanding of Woori(우리) in Korean.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Nirvāṇa as the premise of Hwajeang in the Nirvāṇasūtra Siddhāntasaṃgraha by Wonhyo. First, it is no form, thus it is everywhere. Second, it is in existence hidden secretly as it is. Third, it is wide & big & very deep & very far & endles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Hwajeang as the premise of Nirvāṇa in the Nirvāṇasūtra Siddhāntasaṃgraha by Wonhyo. First, it beyonds contrary opinions and each opinions have no hindrance. Second, all opinions have a reasonable principle, and have a good circulation of themselves, are true. Third, whole and part are not blocked and are not same.
    Woori in Korean can be interpreted into we/our/us, and big one, too. To live small one is not to live Woori. To live small one and simultaneously to live big one is to live Woori.
    In this understanding of Woori in Korean, Wonhyo says no form. he finds the great affirmation in no form. Woori in Korean is going to the ‘big I’ from the negation of ‘I’, but there is ‘I’ left.
    I infer that Wonhyo’s understanding of Nirvana and Hwajeang was correlated with Woori in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