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륜자동차 등을 계속 사용할 때 통지할 것을 정한 보험약관의 설명의무 ― 대법원 2021. 8. 26. 선고 2020다291449 판결을 중심으로 ― (The insurer’s Duty to explain the Insurance Clauses that policyholder has the duty to notify when operating a motorcycle —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20Da291449 Decided August 26, 2021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1.12
37P 미리보기
이륜자동차 등을 계속 사용할 때 통지할 것을 정한 보험약관의 설명의무 ― 대법원 2021. 8. 26. 선고 2020다291449 판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1권 / 4호 / 125 ~ 161페이지
    · 저자명 : 김유성

    초록

    보험계약자가 약관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예측 못한 불이익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보험자가 설명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약관에 대하여 계약편입을 배제하는 내용을 가지고 있는 보험약관의 설명의무는 보험계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험법의 핵심원리로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보험자가 약관의 내용을 모두 설명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도 않으므로 판례는 설명의무의 예외 법리를 발전시켜 왔다. 대상판결은 보험계약자 등이 이륜자동차 등을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 경우에 보험자에게 통지할 것을 정한 약관규정에 관하여 보험자가 설명의무를 부담한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이 결론을 도출하기 위하여 제시한 여러 논거들은 기존의 설명의무 면제의 법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륜자동차 등 계속 사용시 통지의무를 부과하는 약관은 보험자의 면책사유 내지 계약체결 후 피보험자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해당하여 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 중요한 내용에 해당한다. 설명의무의 면제사유와 관련하여, 보험계약을 반복하여 체결한 사정과 보험계약자 등이 고지의무를 이행하여 이륜자동차 등 소유 여부 등에 관하여 청약서를 작성한 사정을 가지고 보험계약자 등이 이 사건 약관의 내용을 알았다고 판단할 수 없다. 이 사건 약관이 상해보험 표준약관과 동일하다고 하여 별도의 설명 없이도 평균적 고객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거나, “이륜자동차 등을 어느 정도 이상 사용하면, ‘이륜자동차 등을 계속사용’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보험회사에 통지하여야 하고, 이를 게을리하면 계약을 해지당할 수 있다”는 내용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도 없다. 구체적 사건의 소송당사자는 “평균적인 이해능력과 언어관행을 기준으로 한 보험고객”의 기준을 하회하는 것이 통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위 예상가능성을 인정하기 위하여는 보다 엄격한 판단이 요구된다. 이 사건 약관은 추상적으로 규정된 법규정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사유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법령에 의하여 정하여진 것을 단순히 되풀이하는 정도에 불과하다고 평가할 수도 없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개별 사건의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섣불리 일반화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사건 약관에 대하여 보험계약자의 인식 및 예상가능성에 관하여 보다 엄격한 입증을 요구한 대상판결의 태도는 개인형 이동장치(PM)를 포함하여 이륜자동차 등 사용 중 발생한 사고를 상해보험으로 보호할 것인지 여부에 관한 법적쟁점에도 준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인형 이동장치의 임대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일상생활에서 이륜자동차 등의 사용은 전례 없을 정도로 빈번해졌고, 그로 인한 사고도 보다 빈번하게 목격되고 있다. 이륜자동차 등의 사용과 관련하여 이 사건 약관의 설명의무 존부가 문제되는 사례, 상법 제652조의 통지의무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문제되는 사례에서 대상판결의 법리를 적용하여, 피보험자 등이 이 사건 약관을 인식하였거나 예상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엄격한 판단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surance companies have duty to explain the insurance clauses. Otherwise, it is excluded from the insurance contract. This is developing into a core legal principle of insurance law. There are the insurance clauses that if you continue to drive a motorcycle, you have duty to notify the insurance company (referred to as the subject clause). The subject case ruled that the insurance company should explain the subject clause. The subject case developed the legal principles in more detail.
    The subject clause is subject to the duty of explanation. This is because it falls under the grounds for indemnification of the insurance company. It cannot be said that the policyholder is aware of the subject clause because he has signed several insurance contracts and that the policyholder does not own a motorcycle in the subscription form. The subject clause is not sufficiently predictable by the average policyholder.
    The subject clause stipulates specific reasons for the legal provisions. Therefore, what is stipulated in the law cannot be viewed as simply repeating it. The conclusion of the subject case is valid.
    The subject case was strictly judged whether the policyholder knew. The legal principle of the subject case can be appli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an personal mobility accident should be protected by accident insurance. The personal mobility rental market has been activated. Personal mobilities are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and accidents often occur. When using a personal mobility, it may be a question of whether to notify the insurance company. The subject case requires strict standa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