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여성노동연구의 여성주의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과 「경제와 사회」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A Feminist Analysis on Research of Women's Labor in Korea: Focused on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Economy and Socie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한국의 여성노동연구의 여성주의적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과 「경제와 사회」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 / 15권 / 2호 / 191 ~ 223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강은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 간 주요 사회학지인 「한국사회학」과 「경제와 사회」에 게재된 여성노동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주제, 연구관점, 방법론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것의 여성주의적 함의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회지 모두에서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여성노동연구들이 소수에 불과하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증하였다. 두 학회지에서 여성노동연구는 생산체제나 노사관계에 관한 것은 극히 소수이며, 대부분 노동시장 지위의 성별격차를 다루고 있다. 둘째, 여성 노동연구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양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성(sex 혹은 gender)을 개인수준의 변수로 설정하고 노동세계에서 남성과 여성의 평균적인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다. 이 연구들은 노동시장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다른경험과 특성들을 밝혀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젠더’를 분석범주 보다는 보편적 설명으로 사용하는 것을 경계해야 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노동연구들은 연구방법의 선택에 있어서 사회학 방법론에서 과학적 지식의 생산을 둘러싸고논쟁의 대척점을 이루었던 객관성과 주관성의 경계를 넘나드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의 경험을 어떻게 알 수 있으며, 어떻게 지식으로 구성할 것인가라는 인식론적 물음에 더 엄격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기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ducts a feminist analysis on articles about women's laborpublished in two major sociological journals, the Korean Journal ofSociology and Economy and Society over the 30 years, in terms of theirtopics,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follows: First, in two journals, the volume of research on women's laborhas increased since 2000, while there were few in the 1980s and 1990s.
    Most of the research have focused its topics on gender differences of labormarket status, while production regime and labor relations were minortopics in the journals. Second, one of trends in women's labor research isthe use of quantitative research tools setting gender variable at individuallevel and revealing gender differences. In spite of their contribution to makegender differences in labor market visible, we need to be cautious to usegender as a general explanation rather than as an analytical category. Finally,research on women's labor tends to have used inclusive methodologies acrossthe line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in selecting a research methodology. Still we need to think deliberately offeminist epistemological questions such as how we know women's experience and construct a knowledge about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