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HIV/AIDS 감염인의 감염 이후 삶의 긍정적 경험 : “추락하는 것에는 날개가 있다” (Life Experience of People Living with HIV/AIDS: rising up from despair)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0.03
29P 미리보기
HIV/AIDS 감염인의 감염 이후 삶의 긍정적 경험 : “추락하는 것에는 날개가 있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연구 / 41권 / 1호 / 251 ~ 279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미, 김민정

    초록

    2009년 11월 30일 보건복지가족부는 1985년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에이즈‘1호’환자로 확인된 박모씨가 24년이 지난 지금도 매우 건강한 상태라고 발표하였다. 치료를 받은 환자라면 HIV/AIDS 감염인도 대부분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HIV/AIDS가 아니라 암, 심혈관 질환 등의 질병으로 사망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 HIV/AIDS는 죽음의 병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HIV/AIDS 감염인은 사회에서‘추방된’느낌을 가지고 살아간다. HIV/AIDS에 대한 치료가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HIV/AIDS 감염인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상태이다.
    이에 이 연구는 HIV/AIDS 감염임들의 관점에서 이들의 생존경험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6명의 HIV/AIDS 감염인을 인터뷰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HIV/AIDS 감염인의 감염 이후 삶의 경험은 시간에 따라 상호 연관되어 나타난다. HIV/AIDS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통보받고 감염인들은“하늘이 무너져 버릴 것 같은” 충격을 경험한다. 또한 HIV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의 강제적인 노출은 세상으로부터 강요된 단절과 소외를 안겨주고, 직장에서 내몰려 생계의 위협을 받게 하며, 이들은 죽을 날만을 혼자 외롭고 무기력하게 기다린다. 그러나 몇 몇 의료진과의 접촉은 이들에게 HIV/AIDS는 평범한‘관리의 질병’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며, HIV/AIDS를“알아가며 이해해 가는”시간을 갖게 한다. HIV/AIDS 감염을 긍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이들은 현재의‘삶’에 충실하게 살며, 삶의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간다.
    주위 사람들에게 HIV/AIDS 감염을 떳떳하게 말하지 못하는‘거짓된 삶’이 아닌“진실된 모습으로 거듭나기 위해”이들은 주위사람들에게 HIV/AIDS 감염사실을 알린다. HIV/AIDS 감염 사실을 알리는 것은“내가 나를 인정하고”,“나 자신을 강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어 이전보다 더 성숙해진 자신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 HIV/AIDS와의 이러한 상생의 전제는 바로 병에 대한 인식의 변화이다.‘더러운 병, 죽는 병’이 아니라‘관리가능한 질병’이라는 인식의 변화는 HIV/AIDS 감염인들이 새롭게 태어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HIV/AIDS 감염 이후 새로운 삶에는 자기만이 아닌 다른 사람들이 있다. 이는 나에게로만 향하던 관심에서 타인에 대한 관심으로의변화를 의미하며, HIV/AIDS와의 상생을 촉진했던 것은 가족과 친구들의 변함없는 지지였다.

    영어초록

    In 2009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ety reported a new milestone in longevity among people living with HIV and AIDS (PLWHA): An individual was reported to be living and healthy after 24 years with HIV/AIDS. Today, PLWHA who receive treatment are more likely to die as a result of cancer or cardiovascular diseases than HIV/AIDS. However, in Korea the public association between HIV/AIDS and death remains strong and PLWHA live with the feeling of being discarded. While great advances have been made in the treatment of HIV/AIDS, understanding of life with HIV/AIDS is just beginning. This study describes the life experiences of PLWHA after being diagnosed with HIV/AIDS.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transcripts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six PLWHA.
    Time is a constant factor in the life experiences of PLWHA. After being diagnosed, participants were shocked, feeling as though the world was caving in and they were living with a time bomb. Compulsory disclosure left PLWHA with a feeling of disconnection from the world. Participants were fired from their jobs, resulting in poverty, isolation and a sense that they were simply waiting to die. However, health professionals informed participants that HIV/AIDS is a manageable illness. With time, PLWHA came to understand HIV/AIDS differently. In accepting their HIV infection, PLWHA created a new sense of meaning in their lives. To be honest to their loved ones and true to their own identity, PLWHA worked to “come out.” The experience of coming out helped them to accept themselves as they were and understand their own strength.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their treatment, and living with HIV/AIDS generally, was obtaining correct information about HIV/AIDS from health professionals. After accepting that they were living with HIV/AIDS,participants were able to look beyond themselves to support those around them, including family members, friends, and others who encouraged them to recognize and feel confident in their own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