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전통문화문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우실하 교수의 반론에 대한 재반론(2) (How to Understand a Traditional Cultural Grammar of Korea?: Reexamination of Prof. Woo Sil-ha’s Critical Response (2))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7.11
39P 미리보기
한국 전통문화문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우실하 교수의 반론에 대한 재반론(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3권 / 1호 / 123 ~ 161페이지
    · 저자명 : 강신표

    초록

    이 글은 우실하의 「강신표 교수의 ‘대대문화문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문화와 사회』 통권2권, pp. 7~28)를 재반론하는 것이다. 2005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대회, 동양사회사상 분과에서 발표한 강신표의 「‘대대문화문법’에 관한 이해와 곡해」에 대해 우실하가 반론으로 논의했던 내용을 글로 정리한 것이 위의 우실하의 글이다.
    이 글은 당시에 강신표가 답변했던 내용을 다시 부연 설명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로 우실하가 조선조의 서명응이 사용한 대대 개념을 강신표가 사용하는 개념과 동일시하는 데 문제가 있음을 다시 지적하였다. 둘째로 우실하가 대대 개념을 “2수(數)”로 파악하고, 나아가 “3수(數)”로 한국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점을 비판하였다.
    끝으로 강신표의 “대대문화문법”은 급수성, 집단성, 연극/의례성이라는 문화문법의 규칙성(rules)을 다루면서 확대 심화시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이해는 우실하에게서 찾아볼 수 없다. 그는 다만 2수, 3수, 5수라는 수량 개념에서 한중일의 전통문화의 ‘구성 요소’와 ‘구성 원리’가 차이가 난다고 하였다. 이 글은 이에 대한 재반론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my response to Woo"s paper, “A Critical Review of Kang’s ‘Dae-dae Cultural Grammar’”. I had criticized Woo’s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f ‘Dae-dae Cultural Grammar’” at the Annual Spring Meeting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2005. His paper is what was discussed at the meeting and also my paper is what I responded to his comments at that time.
    Main points of my criticism are three fold as follows;
    First, he had confused the concept, “Dae-dae”, used by me and Seo Myung-eung,(徐命膺), a scholar of late Chosen Dynasty. Seo’s usage of the concept is his unique interpretation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my usage. I tried to show how differently the concept is utilized in its understanding by me and Seo. To my understanding, Seo’s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is possible in terms of my “Dae-dae” cultural grammar. If he intended to criticize my “Dae-dae”, he should do it in terms of my usage.
    Secondly, he concentrated on “numerical” aspects such as “number 3” is “sacred number” by traditional Koreans. And he continued to emphasize “domination of number 3” over the numbers 2 and 5 in which 2 represent “Dae-dae of yin and yang” and 5 represent “five elements”(五行). Myth of “number 3” was already well discussed by Alan Dundes as an universal number. Thus we cannot accept “number 3” as “sacred number” uniquely used by traditional Koreans.
    Finally, he did totally disregard what I intended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al grammar of Korea” by “Dae-dae” which imply hierarchical, groupness and drama/ritual aspects. Here, I must put an additional note that my approach is only one of many possibl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al tra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