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터넷 권력의 이해 : 소셜미디어의 힘 어떻게 볼 것인가 (Understanding Internet Power: What is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4.05
26P 미리보기
인터넷 권력의 이해 : 소셜미디어의 힘 어떻게 볼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이론 / 45호 / 36 ~ 61페이지
    · 저자명 : 박창호

    초록

    이 글은 인터넷에서의 영향력이 실제로 권력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했다. 권력은 타인의 의지에 상관없이 자신의 의도를 실현할 수 있는 힘으로써 상호작용 속에 일어나는 관계맺음을 기초로 한다. 권력은 국가의 실체를 통해 근대성의 사회에서 행사된 것이고, 권력은 물질적 자원과 권위적 자원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 따라 달라진다. 권력은 자원에 따라 지배력이 달라지면서, 사실 지배와 복종이라는 위계적 불평등을 만든다. 인터넷은 ‘기회의 보장’과 ‘익명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자유롭게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개연성을 가지고 있는 곳이다. 권력의 근거가 되는 지배의 정당성과 자원의 배분을 인터넷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에 같은 관점에서 권력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사이버 행동주의는 기존 권력에 맞서는 대항담론을 만들고 새로운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저항을 통한 세력화로서 하나의 권력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사이버 행동주의가 문화로 승화할 수 있는 퍼포먼스를보이기도 하고, 행동을 이끌 수 있는 인지동원의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따라서 대항세력을 키우기 위한 사이버 행동주의는일관성을 갖기 어려우며, 인터넷에서의 권력으로서 일상화되기 어렵다. 블로그나 트위터를 통한 영향력의 경우에도 상호적 관계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방적 관계를 통해 맺어지는 것이다. 파워블로거나 파워트위터러의 경우, 실제 방문자나 팔로어를 상대로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매커니즘이 없다. 방문자나 팔로어의 선택적 의지가 더 중요한 것이어서 지배나영향력을 일방적으로 행사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오히려 자기 과시적 성향이나 사회적 영향력의 획득을 위한 것이어서 인터넷에서 영향력으로 간주될 수는 있으나 진정한 의미의 권력은 아닌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상의 권력을 기존의 권력 개념으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internet power in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Power is the probability that one actor within a social relationship will be in a position to carry out his own will despite resistance. It is based on the social action and relationship and exercised by the nation-state in the modern society. Power would be related to the resources that social actors employ in the course of the their activ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ower of dominance. Dominance that is a special case of pow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social action. Owing to power and resources, social inequality could come into existence and accelerate the dominance and subordination in our society, However, the cyberspace of internet cannot apply to the principle of general power or dominance because there are no material resources that can be alloted to the user of internet. In other words, the space of internet guarantees a lot of chances of participation and anonymity of participator for the users of internet without limitation. So the power or the dominance based on the resources cannot be applied to internet power. In the case of cyber activism, it is true that it m ight contribute to the emergence of new power, but it has no consistency of resistance movement as new power and furthermore shows the character of cultural performance for a special event. Also power-bloger and power-twitter, a kind of social media, display the appearance of self-ostentation and the instrument of acquisition of reputation rather than the influence for power. Accordingly, internet power cannot be assumed in the given definition of power or dominance and must be accepted in the internet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