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四佳 徐居正의 書畵認識에 관한 고찰 -儒ㆍ佛ㆍ道 三敎의 融和的 審美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Works and Paintings of Saga, Seo-Geojeo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5.11
28P 미리보기
四佳 徐居正의 書畵認識에 관한 고찰 -儒ㆍ佛ㆍ道 三敎의 融和的 審美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3권 / 139 ~ 166페이지
    · 저자명 : 한상일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초기 문예부흥시대를 대표하는 문신이자 학자인 서거정(四佳 徐居正, 1420-1488)의 서화인식을 규명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당시는 불교에서 유교로 전환되던 시기로서 유교를 국시로 한 조선초기의 문예사상은 후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독자적 예술발전의 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서화 인식의 전개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그는 서화의 창작과 비평에 관하여 유ㆍ불ㆍ도를 망라한 제가를 융화하여 다양한 심미 관을 추구하였다. 그의 문학세계는 성리학적 이념을 가진 전형적인 사대부 문학을 표방 하지만, 방외지교(方外之交)를 포함한 시ㆍ문학, 서화, 잡기 및 골계류 등 다방면에서 능 력을 발휘하였다. 예술에 관한한 성리학적 틀 속에 갇히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고, 불가의 정신세계와 도가의 자연관 등 보다 자유로운 예술적 심미의식을 포용하고 추구하였다. 서거정은 조선 초기 대표적 훈구파 관각문인의 한사람으로서 선망의 대상이었던 문형 (文衡)을 22년간 맡으면서 문학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그가 당시 문인들에게 끼친 영향은 지대하였음을 미루어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를 통하여 조선 초기 문인들의 서화에 관한 심미관과 미학구현 양상을 상당부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is a pap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works and paintings of Saga, Seo-Geojeong who was a civil minister and scholar to represent the period of Renaissance in the early stage of Chosun dynasty. Since the literature thoughts based on Confucianism as the country’s policy of early stage of Chosun came to a foundation stone of independent arts development till the late period of Chosun, it might be an important assignment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works and paintings developing process for us. He pursued various views of aesthetics in creation and criticism to calligraphic works and paintings based on the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etc. Although his literature world claims to stand for traditional scholar-official with the view of Neo-Confucianism, he also showed great talent for the poetry, literature, calligraphic works, paintings, miscellaneous notes and comics including the intercommunion with Buddhist. He did not permit to be locked in the frame of Neo-Confucian view as far as the arts are concerned and pursued liberal artistic esthetical awareness of the spirit of Buddhist and the natural view of Taoism. Seo-Geojeong, a representative and meritorious artist, took the position of official examiner for civil service that was artists' object of envy for 22 years. Therefore, it could be surmised that he had a great influence on other artists . 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expected to get some trends regarding the aesthetic value and aspect of beauty implementation of calligraphy works and paintings from general artists on the early stage of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