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노동자문제와 동아시아 다층 거버넌스: 연성법 관점에 기반한 분석과 함의 (Foreign Migrant Workers and Multilevel Governance in East Asia: Analysis and Implications from a Soft Law Perspectiv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1.09
33P 미리보기
이주노동자문제와 동아시아 다층 거버넌스: 연성법 관점에 기반한 분석과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51권 / 3호 / 153 ~ 185페이지
    · 저자명 : 미우라

    초록

    이주노동자문제에 대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이 문제의 효과적 개선을 위해 동아시아 차원의 지역협력이 꼭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구속력 있는 정부간 지역기구가 없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비구속적 법제도나 수단에 의한 간접적인 정책조정노력 즉, 연성법의 설계와 실천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연성법에 기반한 다층 거버넌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관찰하여 지역협력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찾는다. 국제, 국가, 지방∙사회 수준으로 나누어 관련 법제도의 동향을 개관 및 고찰한 결과 1) 동아시아에서는 국제기구의 지역 사무국과 지역적 연합조직이 정부간 지역기구의 부재상태를 보완하는 형태로 정책적 규범이나 지식이 보급되는 구조, 2) 노동력의 주요 수용국인 한국과 일본에서 국내 수준에서 국제 수준으로 그리고 지방 수준에서 국가 수준으로의 연성법 실천성과의 피드백이 비교적 미흡하다는 과정적 특징, 3) 국제사회가 주도하는 권리와 다자협력 중심의 연성법 설계와 비교했을때 한국과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지방 차원의 지원정책이 중심인 ‘다문화’ 이념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차이를 지적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widely asserted that East Asia should promote regional cooperation to effectively improve the problem of region-wide movement of migrant work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ulation and practice of soft law instruments and discusses how the regional multilevel governance has been operated in spite of the absence of hard law cooperation system. A close observation of the soft law instruments at the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level provides following arguments. First, the regional offices of acknowledge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ulating and disseminating policy norms, standards, knowledge, and models. Second, Japan and Korea, principal receiving countries in the region, have taken a passive posture in the feedback of their practices of soft law. Third, different policy directions have emerged between the international initiatives and the national level practices. While the former mainly focuses on the realization of ‘Decent Work’ and ‘labor right’, the latter tend to stress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community-based support programme at the local level, which provide both opportunities and obstacles to improve the complex problem of foreign migrate wo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정치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