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만금 간척사업 사례를 통해 본 불교의 생태 거버넌스 역할과 한계 (The Role and Limitations of Buddhist Ecological Governance: A Case Study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12
33P 미리보기
새만금 간척사업 사례를 통해 본 불교의 생태 거버넌스 역할과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7권 / 4호 / 179 ~ 211페이지
    · 저자명 : 이명호

    초록

    새만금 갯벌 간척종합개발사업은 역사상 최대의 간척사업이며, 다양한 갈등 이슈를 담고 있는 사업이다. 초기부터 생태적 가치를 핵심으로 하는 사회운동을 촉발시켰으며, 현 시점에도 공사와 갈등 모두 진행 중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갈등 현장에서 갈등 해소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가능성과 종교의 역할에 주목하고, 새만금 사업 과정에서 구성된 생태 거버넌스에서 종교의 역할과 자원을 탐구한다. 불교계는 갈등이 첨예한 현장에서 종교의례를 활용하여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종교의례가 생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론적 논의는 기후변화와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과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다루고, 협력적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협력적 거버넌스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시민사회, 기업, 지역주민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조정양식으로, 종교는 이 과정에서 중요한 조정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새만금 사업의 시기별 사회적 조정양식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강화되었던 2기 가치 충돌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새만금 반대운동에서는 삼보일배, 매향제, 장승제, 풍어제 등과 같은 종교의례를 통해 생태적 가치를 부각하고 사회화하였다. 이중 매향제는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고 지역사회의 아픔과 한을 정화하는 역할을 담당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새만금 사업 과정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불교는 사회적 조정과 협력, 신뢰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율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불교의 구체적인 역할과 활동 방안을 모색하고 지원하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생태문명으로의 전환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에 있어 종교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향후 연구와 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s the largest reclamation project in Korean history, encompassing various conflict issues. From its inception, it has sparked social movements centered on ecological values, and this continues to be a contentious issue. This study focuses on the potential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to resolve conflicts in this context and highlights the role of religion. It specifically examines the role and resources of religion in ecological governance, focusing on the role of Buddhism in the Saemangeum opposition movement. The Buddhist community utilized religious rituals to advance the movement in a highly contentious environment. This study analyzes how these religious rituals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governance. The theoretical discussion addresses various approaches to overcoming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cris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governance. Cooperative governance involves various actors such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ivil society, and corporations working together to solve problems. Religion can play a crucial coordinating role in this process. By analyzing the different phases of social coordination in the Saemangeum Project, the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network governance, particularly during the second phase of value conflicts. In the Saemangeum opposition movement, the Buddhist community emphasized ecological values through rituals such as the Three-Step One-Bow protest and the Maehyangje. The Maehyangje, in particular, held potential for strengthening community bonds and addressing the community's pain and grievances. It is a significant ritual for enhancing community cohesion, and its underutilization during the Saemangeum Project is regrettable. Religion, with its capacity for social coordination, cooperation, and trust-building, can effectively mediate various interests and foste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cooperative governance, it is essential to explore and support the specific roles and activities of religion. This study reaffirms the importance of religion in building governance for an ecological civilization and provides key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