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한-중-일 표준화 거버넌스 특성 분석 (Text Network-Base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ization Governance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4.09
25P 미리보기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한-중-일 표준화 거버넌스 특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국가정책연구 / 28권 / 3호 / 123 ~ 147페이지
    · 저자명 : 백종현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기술표준 분야에서 경쟁과 협력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의 한국, 일본, 중국의 3개국의 표준화 법률에 나타난 ‘거버넌스(Governance)’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 국가들의 표준화 거버넌스 구성형태, 주요 행위자 및 관계, 표준화 절차에서 거버넌스 주체간 역할과 협력수준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의 산업(공업) 표준화 관련 법률에서 한국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표준심의회간의 부처-정부위원회 중심의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일본은 주무부처와 공업(산업)표준조사회간의 민-관위원회 관계중심의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있었다. 부처와 기관-단체간 거버넌스 관계 관련해서는 한국은 정부-공공단체-민간단체들과의 다양하고 복잡한 다층적 거버넌스 관계를 맺고 있는 반면 일본은 정부-공공단체 중심의 이원적 거버넌스 관계를 맺고 있었다. 반면에 한국과 중국의 국가표준화 관련 법률에서 한국은 ‘중앙행정기관-산업통상자원부-국가표준심의회 간의 중앙집권적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중국은 중앙부처-지방정부-기업간의 분권적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있었다. 부처와 기관-단체간 거버넌스 관계 관련해서는 한국은 정부-표준화기구 중심의 단순한 계층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정부-기업-민간단체간의 다원적 거버넌스 구조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한-중-일 3개국 표준화 거버넌스 특성을 표준화 관련 법률을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국가 표준화 거버넌스 개편 작업시 관련 법제도 개편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conduct a text network analysis with the focus on keywordsassociated with “governance” appearing in the standardization laws of South Korea, China,and Japan, which are engaged in both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with each other in thesector of technological standards. It also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roles of the keyactors of governance of these countries in matters concerning the composition ofstandardization governance and standardization procedures, and on the level ofcollaboration between the key actors of governance.
    As regards the industrial standardization-related laws of South Korea and Japan, itappears that, in South Korea, governance is centered on ministry-government committees,with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and the Industrial StandardsCouncil private and public sectors (i.e. ministries in charge and the Japanese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ith regard to the governance relationships betweenministries, agencies and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public agencies, and privateorganizations of South Korea maintain diverse, complex, and multilayered governancerelationships among themselves, while those of Japan maintain dualistic governancerelationships centered on the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Looking at the laws related with national standardization of South Korea and China, theformer appears to form a centralized governance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administrative agencies, the MOTIE, and the Committee for Deliberation on NationalStandards playing a leading role, while the latter appears to form a decentralizedgovernance relationship, with the roles divided between central ministries and localgovernments. As regards the governance relationship between ministries, public agencies,and private organizations, those of South Korea maintain a simple hierarchical governance structure centered on the government and standardization-related bodies, while China hasa pluralistic governance structure, with the roles distributed among the government,businesse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is study presents suggestions on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amendment orreformation of the relevant laws and systems in connection with South Korea’s future needto reform the national governance structure through an analysis of thestandardization-related governance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relevant laws of thethree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가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