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Immersive 미디어아트 전시 관람객과 예술 전문가의 수용태도와 인식 비교 조사: 반 고흐 작품 전시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urvey of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Ordinary Visitors and Art Experts in Immersive Media Art Exhibition: Based on the Exhibition of Van Gogh’s Work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10
20P 미리보기
Immersive 미디어아트 전시 관람객과 예술 전문가의 수용태도와 인식 비교 조사: 반 고흐 작품 전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 / 6권 / 5호 / 53 ~ 72페이지
    · 저자명 : 남진

    초록

    Immersive 미디어아트 전시 관람객과 예술 전문가의 수용태도와 인식 비교 조사: 반 고흐 작품 전시를 중심으로

    남 진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Immersive 미디어아트 전시를 방문한 관람객 전시장을 방문한 전 연령층이 대상으로 관람객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를 진행함.
    과 예술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용태도와 인식을 비교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방문 관람객 48명과 예술 전문가 5명의 인터뷰를 통한 인식을 비교 조사하였다.
    연구 내용: Immersive 미디어아트 작품 전시는 새로운 자극에 대한 감성·경험 요소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확인 결과, 방문자는 특정 년령층의 치우침이 없이 고르게 분포되었다. 그러나, 기존 미술관의 실물작품 전시 형태를 대체할 수는 없고 보완재의 성격에 더 가까운 것으로 연구되었다.
    결론 및 제언: 미디어아트 전시를 방문한 관람객 외에 기술엔지니어나 그래픽 디자이너와 같은 전문가 집단에 대한 보완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중에서도 인터뷰로만 진행하였기 때문에 설문조사 및 통계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 이번 수용태도와 인식 비교 조사에서 밝혀진 이슈와 개선 필요 사항들을 반영하여 향후 예술창작 활동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Immersive 미디어아트, 수용태도, 인식, 감성과 경험, 보완재

    영어초록

    Comparative Survey of Acceptance and Perception of Ordinary Visitors and Art Experts in Immersive Media Art Exhibition: Based on the Exhibition of Van Gogh’s Works



















    Jin Na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ttitude, and needs of the inmates of these new digital works exhibition forms for visitors who watched the Immersive media art exhibition. This is to find out what factors this new form of digital exhibition really plays on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of viewers compared to traditional real works exhibition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first interview with visitors to the media art exhibition and conducted the second interview with pre-selected art expert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exchanging greetings with visitors who came out after watching the exhibition, focusing on four key questions. The question was why the digital media art genre is so popular these days, and why media art exhibitions are discriminated against compared to existing real works exhibitions, whether media art genres are preferred by everyone regardless of generation, or whether they can replace existing real works. so, whether it’s substitute or complementary goods.
















    Key Words: Immersive Media Art, Perception, Attitude, Emotions and Experiences, Complementary Goods

































































































































































































    □ 접수일: 2024년 9월 9일, 수정일: 2024년 10월 3일, 게재확정일: 2024년 10월 20일* 경희대학교 공연예술학과 예술경영학전공 박사과정(Doctoral Course, Kyunghee Univ., Email: jnam36@gmail.c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