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정보보호제도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의 갈등과 조화방안에 대한 고찰 - ‘외부강의등 사전신고․허락’ 규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nflict and Harmony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and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 Focused on the provision of the report and restriction on the outside 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11
26P 미리보기
개인정보보호제도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의 갈등과 조화방안에 대한 고찰 - ‘외부강의등 사전신고․허락’ 규정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76권 / 311 ~ 336페이지
    · 저자명 : 김현경

    초록

    「청탁금지법」이 규정하고 있는 대학교수 및 언론인에 대한 ‘외부강의등 사전신고 및 허락제도’는 헌법상 비례의 원칙(proportionality test: 일명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므로 폐지되는 것이 타당하다. 우선 ‘수단(방법)의 적절성’이 인정된다고 보기 어렵다. 대학교수가 본인의 연구결과를 토론회․세미나․공청회등에서 강의․강연․기고 형태로 발표하는 것은 자신의 전문영역을 공고히 하고 이를 교육에 반영하여 더 양질의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본연의 직무다. 이러한 활동에 대하여 사전에 소속기관장에게 신고하고 허락을 득하는 것이 학생의 부정입학, 부정한 성적 및 수행평가 처리를 막는 적절한 수단이라고 볼만한 실증적 증거가 없다. 언론인 역시 그 전문적 역량과 관련된 토론회, 세미나 등의 참여에 대한 사전통제가 보도의 청렴성보장에 적절한 수단이라는 증거가 없다. 또한 대학교수나 언론인에게 적용되는 외부강의등 사전신고․허락제도는 이들의 공정한 업무수행에 기여하기 보다는 프라이버시 및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함으로서 학문의 자유, 언론의 자유, 일반적인 행동자유권을 제약할 가능성이 더욱 농후하다. 따라서 ‘침해의 최소성’ 기준에도 부합할 수 없다. 즉 비례의 원칙에 의할 때, 대학교수 및 언론인에 대한 ‘외부강의등 사전신고 및 허가제도’는 수단의 적절성, 침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폐지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수 및 언론인에 대하여 여전히 ‘외부강의등 사전신고 및 허가제도’를 불가피하게 유지하여야 한다면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의 충돌이 최소화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보완되어야 한다. 우선 수집되는 개인정보의 범위를 대폭 줄이고, 그러한 정보가 장기간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수집되는 개인정보의 이용목적 및 범위를 명확히 규정하여야 한다. 한편 개인정보처리자인 소속기관의 장은 신고의 내용이 「청탁금지법」에 위배된 부정청탁이나 금품수수에 해당되지 아니함을 확인하였을 때에는 즉시 파기하여야 한다. 또한 이 제도를 통해 수집된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최소한이어야 한다. 대학교수나 언론사 사장 등 소속기관의 장은 이러한 제도를 통해 수집되는 개인정보의 이용범위, 관리방법, 최소한의 보유기간, 파기에 대하여 개인정보처리지침에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지침내용을 공개하여 그러한 자료가 교수의 학술활동 및 기자의 취재활동을 제한하는 수단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h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olicitation Prohibition Act”) regulates that if professors and journalists conducts a lecture, presentation, or contribution related to his/her duties or requested due to de facto influence arising from his/her position or responsibilities at a training course, promotional event, forum, seminar, public hearing, or any other meeting(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side lecture, etc"), he/she shall report, in advance, in writing, the details of the request for the outside lecture, etc., to the head of the relevant institution. If a head of a relevant institution deems an outside lecture, etc., reported by a professors and journalists may hinder fair performance of duties, the head of the relevant agency may restrict the outside lecture, etc.(h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e report and restriction on the outside lecture, etc."). The report and restriction on the outside lecture, etc. It is reasonable that this system will be abolished because of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proportionality test.
    First, the 'adequacy of means' is unlikely to be accepted. The professor presented the findings at the seminar, public hearing, or any other meeting in the form of a lecture, presentation, or contribution, and this activities is he/her inherent duties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area and perform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re is no empirical evidence that the advance report to the head of the relevant institution and gain permission for such activities regard as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the illegal entrance, illegal performance assessment and illegal treatment of students. Similarly, there is no evidence that to control journalists in advance to participate in debates or seminars is appropriate measures to ensure integrity in the report. In addition, "the report and restriction on the outside lecture, etc." applicable to professors and journalists, is more likely to be constrained academic freedom,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general behavior liberties by infringing on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rather than contributing to their fair job performance. Therefore, b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 report and restriction on the outside lecture, etc." applicable to professors and journalists is advisable to be abolished because it does not comply with the standard of 'adequacy of means' and 'minimum infringement of the right' Nevertheless, even if "the report and restriction on the outside lecture, etc." applicable to professors and journalists inevitably be maintained,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mplementary to minimize conflicts of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First, significantly reduce the rang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to be collected, such information shall not accumulate a long period of time. The following should be clearly defined for the purpose and the scope for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by. Meanwhile, a head of a relevant institution must immediately destroy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ontents of the report when they check the activities reported are not contrary to the Solicitation Prohibition Act. In addition, the retention period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is system should be minimal. A head of a relevant institution shall have specific regulations for use of the scop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methods, minimum retention period, method of destruction in the personal information treatment directive. By doing so th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will not be exploited as a means to limit the coverage of the activities of journalists and professor's academic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