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동화된 결정에 관한 개인정보보호법 정부 개정안 신설 규정의 문제점 - EU GDPR과의 비교 분석 (A Critique of the Automated Decision-making Provision in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EU GDPR)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자동화된 결정에 관한 개인정보보호법 정부 개정안 신설 규정의 문제점 - EU GDPR과의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62호 / 361 ~ 390페이지
    · 저자명 : 박노형, 김효권

    초록

    오늘날 인공지능 등 신기술 발전에 따라 완전히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하여 처리되는 개인정보의 수와, 그러한 처리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의사결정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EU 일반개인정보보호규칙(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이하 ‘GDPR’이라 한다)은 이처럼 오로지 기계에 의하여 수행되는 개인정보 처리와 그에 따른 결정이 인간 존엄을 침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 아래, 자동화된 결정에 따르지 않을 정보주체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기조를 반영하여 2021년 정부가 제출한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은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정보주체 권리로서 자동화된 결정을 거부하거나 그에 대한 설명 등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통과된 EU 적정성 결정 승인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법을 GDPR과 합치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자동화된 결정에 대한 정보주체 권리를 도입하는 개정안 제37조의2가 GDPR 관련 규정과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를 비판적 관점에서 비교한다. 자동화된 결정의 원칙적 금지와 예외적 허용을 규정하는 GDPR과 달리, 개정안은 개인정보 수집이 가능한 모든 항목에서 그러한 결정을 원칙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주체는 거부권을 스스로 행사하고 원용하기 위하여 과중한 입증책임을 부담한다. 또한, 자동화된 결정의 유무와 그 결과를 정보주체에 ‘제공’할 것을 요구하는 GDPR과 달리, 개정안은 해당 결정의 기준과 절차를 ‘공개’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들 신설 규정은 정보주체가 과연 실제 현실에서 새롭게 도입된 대응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의구심을 자아낸다. 일반적으로 정보주체는 자동화된 개인정보 처리의 존재를 애초에 알기 어려우며, 그러한 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결과가 어떠한지, 그러한 결과가 자신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논문은 GDPR과 다각적 비교를 통하여, 개정안이 개인정보처리자의 편익과 정보주체의 권리 간 형량에 있어서 전자의 이익에 지나치게 편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비판한다. 이에 논문은 자동화된 결정에 대한 정보주체 권리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에 관한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방향을 제언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rise of new technologies allows data controller to rely on automated decisions evaluating personal aspects of data subjects. Such decisions, solely based on automated processing with legal effects, may significantly affect data subjects’ rights. The EU GDPR, therefore, provides a data subjects’ right not to be subject to automated decision-making. Likewise, the Korean government recently provided a proposed amendment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here data subjects can deny automated decision-making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rights and interests. This article compares the proposed amendment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GDPR and criticizes that the former does not ensure an adequate level of data protection guaranteed in the latter. While the GDPR establishes a general prohibition for decision-making based solely on automated processing, the proposed amendment regulates general permission thereof, whereby the right to deny must be actively invoked by each data subject. Moreover, the proposed amendment simply requires data controllers to make public procedures and standards of automated decisions whereas the GDPR stipulates the data controllers’ duty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o provide any information relating to automated decision-making in a concise, transparent, intelligible, and easily accessible form. By way of such comparison, the article argues that the future amend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hould actively reflect the GDPR and prohibit automated decision-making in general to ensure the legitimate interests of data su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