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 개의 탑: 형식과 개념 (Two Towers: Form and concep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16.06
43P 미리보기
두 개의 탑: 형식과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배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배달말 / 58호 / 59 ~ 101페이지
    · 저자명 : 이향천

    초록

    토마스 쿤이 말한 것처럼 어느 시대나 그 시대를 주도하는 시각, 관행, 접근법들의 패러다임들이 있다. 언어학에서 20세기는 소쉬르의 구조주의로부터 출발하여 촘스키를 거쳐 형식주의가 만연했다. 거의 모든 학자들을 그사령탑 아래에 둔 강력한 패러다임이었다. 개념주의는 사색적 철학자들이개발한 것으로 이천 년을 넘어가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형식주의나개념주의와 같은 흐름이 왜 생겨나고 위세를 떨쳤는지를 다각도로 짚어 보는 글이다. 그 원인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성향들이나 심적 원리들을 찾아보고 이들이 언어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언어는 단순하지도 않고, 일반적 통사 규칙 하나로 꿰뚫을 수도 없고, 수시로 변하는삶과 세계의 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관찰자가 스스로에게서 떼어놓고 고찰할 수 있는 독립된 대상도 아니다. 세상의 모든 것들은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기체와 환경, 그 속에 있는 수많은 것들, 관찰, 행동, 행위, 욕망, 지식, 느낌 등 모두 연결되어 있다. 언어를 단순히 독립된대상으로 놓고, 불변하는 추상적인 것으로 놓고 바라보는 시각은 성공할 수없다. 복잡, 다양, 다변하는 현실적 세계를 직시하고 거기에서 영역과 층위를가로지르는 패턴들을 찾는 Bateson의 방식이 수준 높은 학문이 가야할 길로보인다. 그리고, 언어 연구는 실시간에 사람들 사이에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추적하면서 이뤄져야 한다. 이는 무척 어려울 것이지만 세계를 넓고, 높고, 깊게 보는 길이기도 하다. 이렇게 하여 언어를 연구하면서 우리는 인간과세계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다.

    영어초록

    People consider linguistics as one of the most prominent discipline in the 20th century, like physics in natural science. And the dominant approach to language research has been the structuralism, initiated by Saussure and flourished by Chomsky. Structuralism is the study of forms of language. By pursuing forms of the things we can attain the clarity, simplicity, generality abstraction, and testability of the statements. With the coming of computational technologies, the formalism flourished most in Chomskyan linguistics. Under the command of formalism they proliferated so many groundless, non-real formal categories excluding considerations on the real properties of the language or the real aspects of the world.
    Conceptualism which advocates the view that the meaning of a linguistic expression is not the thing referred to but the thought of the thing, the concept, flourished since the ancient times among the philosophers and scholars, because it was easy for them to think about things in the study than to toil outside meeting the real hardships. The concepts were in the mind, i.e., near, and available to them. So the concepts have taken the place of the things.
    Thus the meaning of a linguistic expression has become a concept instead of the thing original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a thing x is the thought of the thing x, which takes the form like “a thing with such and such properties”. The particular objects need much more properties to describe or characterize them with. But the concepts have fewer properties. That makes abstractions and generalizations easier which enables general statements that scholars wish to make. And the conceptualists tend to neglect the particularities that the individual things or events have. They tend to neglect the realities and they have concocted so many concepts isolated from the real things, and these concepts have made the ecological niche of their lives.
    Both formalism and conceptualism favoring simplicity, abstractness, generality, have separated themselves more and more from the realities. The linguistic realities are complex, ever changing, various,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which is hard to approach. But we need to confront the reality while practicing hard discipline. We need to observe the on-time interactive workings of linguistic activities. And we need to find the patterns that connect across the fields and levels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We need to develop new perspectives, new methods of doing science. Ecology which comprises relativism and the evolutionary theory will do a lot in developing new perspectives and tools to study the language and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배달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