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1931년 두만강 북안과 압록강 북안 조선인 이민과 인구 분포 (The Popula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Immigrants on the Northern Banks of the Yalu and Tumen Rivers between 1910 and 1931)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7.10
17P 미리보기
1910~1931년 두만강 북안과 압록강 북안 조선인 이민과 인구 분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리학회지 / 52권 / 5호 / 561 ~ 577페이지
    · 저자명 : 최산산, 류제헌

    초록

    본 연구는 역사지리학과 문화지리학의 관점을 결합하여 1910~1931년 두만강 북안(북간도)과 압록강 북안(서간도)으로의 조선인 이민 과정과 이에 따른 인구 분포를 분석하고 조선인 이주 과정에 작용한 환경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1910~1931년 조선인 이민은 주로 연길현(延吉縣)과 화룡현(和龙縣)을 중심으로 두만강 북안에 집중되었으며 인구수는 압록강 북안보다 훨씬 많았다. 1910년대 압록강 북안에서 조선인은 주로 압록강 중·상류와 혼강(浑江) 유역에 거주하다가 1920년대 벼농사의 발전에 따라 점차 길림성(吉林省)중부에 있는 현(縣)과 시(市), 그리고 봉천성(奉天省) 서북부로 거주지를 확대하였다. 1910~1931년 논농사는 조선인 이민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생계 수단이자 문화적 요인이었으므로 조선인은 벼농사 개간에 적합한 저습지와 하천 유역을 거주지로 선호하였다. 논농사는 조선인 이민을 진일보 촉진시켰으며 이러한 논농사의 발전은 중국 동북지방 곳곳에서 밭농사 위주의 농업경관을 논농사 위주의 농업경관으로 변화시켰다. 조선인 이민과 이에 따른 논농사의 확대 과정에서 조선인, 그리고 한족을 비롯한 중국의 타민족 간 교류는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중국 동북지방 전체적으로 조선인 문화의 전파가 촉진되었다.

    영어초록

    Combining the perspectives from both historical geography and cultural geograph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pula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immigrants onto the northern banks of Yalu River and Tumen River, and the role of environmental and cultural elements in the migration process between 1910 and 1931. Between 1910 and 1931, Korean immigrants we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northen bank of the Tumen River, that is North Gando, with a population far greater than the northern bank of the Yalu River, which corresponds mainly with Yanji county and Helong county. On the northern bank of the Yalu River, in the 1910s, Korean immigrants we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Yalu River and Hunjiang valley. In the 1920s, with the development of rice farming, settlement of Korean immigrants gradually expanded to the counties which lay in the valleys of Jilin province and the northwestern Fengtian province. Rice farming wa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element working in the process of Korean immigration during this period. In order to grow rice, Korean immigrants decided to settle down mainly in the low-lying areas including river basins. The development of rice cultivation further promoted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 immigrants and changed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landscape, which had been dominated by the dry farmlands. As Korean immigrants interacted more closely with local residents including Han nation in the rice cultivation, the culture that they had carried over from the Korean peninsula was further transferred and transplanted on the northen banks of the Tumen and Yalu Rivers and even beyond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리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