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 교리해석의 파편화 현상 비판 - 시창14년도 「교무부 사업보고서」의 敎綱 四恩과 訓綱 三學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Critique of the fragmentation phenomenon of Won-Buddhism Doctrine Interpretation; Focused on the integrity between the Fourfold of grace(四恩)in teachings(敎 in training(訓綱) from ‘The Project Report fro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2.03
37P 미리보기
원불교 교리해석의 파편화 현상 비판 - 시창14년도 「교무부 사업보고서」의 敎綱 四恩과 訓綱 三學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1호 / 179 ~ 215페이지
    · 저자명 : 염승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은(四恩)에 대한 기존 연구가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少 太山 朴重彬 大宗師, 1891~1943)가 병든 세상의 치료를 목적으로 제창한 ‘인생의 요도’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법인 ‘교강(敎綱)’으로서의 사은 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못한 채 훼절되어 왔음을 밝히고 사은의 원형을 복원하 는 데에 있다. 사은에 대한 연구는 교학 1세대인 한종만과 한기두에 의한 사은 담 론 형성을 기점으로 25년이 경과한 지금까지도 1세대의 문제의식과 해석 관점이 무비판적으로 답습되고 있다. 이는 불교를 비롯한 특정 종교와 철학 이론의 프레 임을 원불교 교의에 도식적으로 적용하여 해석해 온 결과로, 비교연구를 통한 원 불교학의 보편화라는 목적과 달리 역설적이게도 소태산 교조정신이 상실되는 현 상을 초래하였다. 유·불·선 전통 종교를 통한 교리 설명과 해석으로 인해 일원 상 진리를 기반으로 해서 타력과 자력, 신앙과 수행의 통일성에서 조명되어야 할 ‘인생의 요도’의 목적과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사은·사요, ‘공부의 요도’의 내 역이 되는 ‘삼강령’ 그리고 이를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훈련의 조건’으로서 의 ‘팔조목’, ‘일기법’, ‘유무념 대조’ 간의 세분화된 구별과 연관성이 통일성과 체 계성을 상실한 채 파편화 및 추상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식에 기반하여 시창14년도 「교무부 사업보고서」에 포함되어 있는 삼학·사은·사요 초안과 「대종경」 교의품 4장의 초안이 된 『회보』 46호, 이공주(九陀圓 李共 珠, 1896~1991), 김영신(融陀圓 金永信, 1908~1984) 등의 사은 관련 수필 법문 등 의 초기 자료를 고찰하여 교리의 통일성과 체계성, 일원과 사은의 관계, 사은의 도 (道)와 덕(德)의 의미, 체(體)와 용(用)의 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자료 들은 교학의 중요 개념을 소태산의 육성을 통해 체득할 수 있게 해 줄뿐만 아니라 기존의 교학 연구의 해석의 기반이 되었던 불교의 화엄학, 연기법 등의 특정 종교 나 철학적 교의와 개념의 틀을 통한 원불교 교의 해석의 한계를 드러내며, 현재 인 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는 전지구적 문제인 기후위기와 환경파괴에 직면하 여 사은의 ‘없어서는 살 수 없는 관계’를 주목하여 ‘사은 윤리’를 현대 체계이론 등 과 비교하는 학제 간 연구의 타당성을 가늠할 수 있는 나침판을 제공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the way of life’ proposed by So Tae-san Park Jung-bin Daejongsa (少太山 朴重彬 大宗師, 1891~1943) for the treatment of the sick world, and specific methods for realizing it. It aims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gratitude by revealing that it has been ‘destroyed’ without conforming to the original purpose of gratitude as a practice method ‘Gyo- Gang’(敎綱). The ‘Draft of The Threefold Study and The Fourfold Grace·The Four Essentials’ includ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s Business Report for the 14th year of the first year of the Won-Buddhist Era (1916 C.E.)」 and the essays on gratitude by Lee Gong-ju (九陀圓 李共珠, 1896~1991), Kim Young-shin (融陀圓 金永信, 1908~1984), etc. Through the cultivation of Sotaesan, it is not only possible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Il-Won and Fourfold he Fourfold Grace, the meaning of the (道) and virtue(德) of Fourfold Gr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ng(體) and its functions(用), but also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 of gratitude. A compass that can judge the rightness and wrongness of interdisciplinary comparative studies with studies that depend on specific religious or philosophical doctrines and conceptual frameworks, such as Buddhism’s chemistry, acting, and the principle of causality, and secular studies such as gratitude and ecology. provides If we take the study of Han Jong-man and Han Ki-doo, who are the first generation of -Buddhism, who prepared a forum for discussion on gratitude due to conflicting arguments in the discuss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and gratitude,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history of formation of the discourse on gratitude, 25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Even the first generation’s problem awareness and interpretation point of view are being followed uncritically. As a result of schematically applying and interpreting the frames of specific religions and philosophical theories, including Buddhism, to Won-Buddhist doctrine, it paradoxically led to the fossilization of the dogmatic spirit of Sotaesan,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f the universalization of - Buddhism. The purpose of the ‘the way of life’, which should be illuminated from the unity of self-control and self-control, faith and practice, based on the truth in unity, due to the explanation and interpretation of doctrine through The subdivided distinctions and associations between the three principles and the 'he Eight Articles', ‘The Dharma of Keeping a Diary, and ‘consistency of nothingness’ as ‘conditions of training’ to actively implement them are fragmented and abstracted. As the fossilization, fragmentation, and abstraction of the spirit of the doctrine that occurs without exception in the history of religion in the East and West, without exception, is a symptom that can occur around the 100-year history of - Buddhism, the effort to return to the spirit of Sotaesan is the current era faced by - Buddhism. It is a task and a requ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