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기 진로정체감 발달 유형 및예측요인과 대학 전공선택 동기의 차이 분석 (Analyzing Latent Profiles, Predictors of Vocational Identity in Adolescence, and Selecting Factors of Academic Major)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청소년기 진로정체감 발달 유형 및예측요인과 대학 전공선택 동기의 차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학회
    · 수록지 정보 : 청소년학연구 / 26권 / 12호 / 277 ~ 303페이지
    · 저자명 : 정정화, 노보람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생 시기를 거치는 청소년기 동안 진로정체감의 변화 유형을 탐색한 후,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밝히고, 더 나아가 변화 유형에 따른 대학 전공선택 동기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 1패널 2,137명의 3, 5, 6, 7차 연도 응답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 다항 로지스틱 분석,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진로정체감 발달 잠재프로파일로 4개 유형이 도출되었고,‘유예형’,‘혼미형’,‘향상형’,‘성취형’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 중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 학습동기 및 행동 특성 중 숙달목적 지향과 학업시간 관리, 마지막으로 진로체험 경험여부가 진로정체감 잠재프로파일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형’에 속한 청소년의 경우 ‘혼미형’이나 ‘유예형’에 비하여 대학 전공선택 시 주변의 권유를 적게, 자신의 관심과 적성을 보다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진로정체감이 질적으로 서로 다른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대학 전공선택 동기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청소년기의 진로정체감 발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determine latent profiles of vocational identity in adolescence, (b) examine predictors for the profiles, and (c) analyze differences in the selecting factors of academic majors among the profiles. We used the 3rd, 5th, 6th, and 7th waves of data from the first grade panel (selected 2,137 students) of middle schoo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Longitudinal latent profile analysi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ur distinct latent profiles of vocational identity during adolescence were found: ‘moratorium’, ‘confused’, ‘improved’, and ‘achieved.’Second, psychosocial factors, learning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and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impacted upon the profiles, such as self-esteem, peer attach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time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of vocational activity programs. Third, in comparison to ‘confused’ or ‘moratorium’, ‘achieved’ showed higher level of consideration in their own aptitudes and interests and lower level of acceptance in others’recommendations and adv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identity of the adolescents we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