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 혁신 성향이 친환경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감의 역할 (The Effects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The Role of Social Connectednes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3.09
18P 미리보기
소비자 혁신 성향이 친환경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감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문화연구 / 26권 / 3호 / 71 ~ 88페이지
    · 저자명 : 이희정

    초록

    최근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환경 오염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제품의 확산과 수용의 중요성이 어느때보다 공감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 친환경 제품의 수용이 적극적 행동으로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소비자의 혁신성과 사회적 연결감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친환경 제품 자체를 기존의 제품과는 다른 혁신적 소비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 혁신성향이 주변 사람들과의 연결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면 친환경 제품의 확산에 더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 혁신성을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연결감이 친환경 제품 수용에 매개효과를 가짐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명의 응답자들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연령과 소득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은 친환경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연결성 역시 친환경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쾌락적 혁신성은 사회적 연결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사회적 혁신성은 사회적 연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연결성의 매개효과는 쾌락적 혁신성과 친환경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소비자 혁신성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친환경 제품의 시장 수용에 대해 살펴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혁신성을 쾌락적 혁신성과 사회적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더불어, 친환경 제품의 보다 적극적인 수용에 사회적 연결성이라는 측면이 의미를 지닐 수 있음을 탐색하고 확인하였으며, 쾌락적 혁신성이 친환경 제품의 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연결감이 역할을 하는 것이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의 보다 적극적 시장 확산을 도모하는 실무자들에게 몇 가지 전략적 통찰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importance of spreading and accepting eco-friendly products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reduce the rat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gaining more sympathy than ever. However, despite this change in perception, it still seems that more time is needed before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ppears as an active ac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nsumers' innovation and social connection can affect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By dividing consumer innovativeness into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hich innovativeness propensity affects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in this process, this study tried to prove that social connected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To this end, 200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their ages and incomes were evenly distribu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Social connectedness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lso, as expected from the hypothesis, hedonic innovativenes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bu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innovative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donic innovativeness and eco-friendly purchase inten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market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s a single concept of consumer inno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vided consumer innovativeness into hedonic innovativeness and social innovativeness to examine the effect on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In addition, it was explored and confirmed that the aspect of social connectedness can have meaning in more activ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it is thought that the role of social connectedness in the process of hedonic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ing the acceptance of eco-friendly products is meaningful in terms of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strategic insights to practitioners seeking more active market expansion of eco-friendly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