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f Anticipated Social Supports, Self-Identity,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of Woma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ent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08.06
26P 미리보기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직업교육연구 / 27권 / 2호 / 1 ~ 26페이지
    · 저자명 : 박미경, 이현림, 김영숙

    초록

    본 연구는 전국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여대생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 그것을 매개하는 변인이 어떤 경로로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은 총 22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에는 SPSS Win 15.0과 AMOS 7.0 프로그램이 각각 사용되었고, 모형검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볼 때,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적합도가 양호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모형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모형을 통한 연구문제의 검증과 예언변인들의 효과검증에서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반면에, 자아정체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진로장벽은 진로결정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정체감은 진로결정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진로결정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세 개의 잠재변인 중에서 자아정체감이었고,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진로장벽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생변인인 사회적 지지는 내생변인인 진로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고, 간접적으로 매개변인을 통해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진로관련 변인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매개변인인 진로장벽과 자아정체감이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factors were related to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of The Woman Student Career Development Center, how mediator factors affected students, and what process was involved. to verify the model,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Kyoungki, Kyoungsang, Cholla and Chungnam Province. The subjects were 225 students. To statistically process the collected data, SPSS Win 15.0 and AMOS 7.0 were used, and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terpretation of goodness of fit index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propo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sufficien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o a modification model was set up. In the theoretical verification of the modification model and effect verification of indicators, social supports, showed negative effects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barriers, but showed positive effects in self-identity. The career barriers showed negative effects in career decision making, but showed positive effects in self-identity. The variable which showed the highest effect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as self-identity, while the variable which showed the lowest effect was career barriers. In addition, social support, an exogenous variable, did not affect career decision making, an endogenous variable, in a direct way but rather, in an indirect way. In particular, career relationship variables which affected woma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were explained, career barriers and self-identity of the mediator variable played an important role. among career relationship variables which affected woma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