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효과; 주의편향과 암묵적 자존감을 중심으로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Changes in the Attentional Bias and the Implicit Self-Estee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3.08
24P 미리보기
사회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효과; 주의편향과 암묵적 자존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지행동치료 / 13권 / 2호 / 211 ~ 234페이지
    · 저자명 : 윤혜영, 권정혜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인지적 취약성의 ‘의지적/통제적인 정보처리 수준(top-down process)’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암묵적/자동적인 정보처리 수준(bottom-up process)’에서의 변화를 함께 유발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암묵적/자동적 정보 처리 수준을 전주의적 주의 편향, 암묵적 자존감과 관련된 자기 지식으로 세분화하여,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으로 유발되는 변화의 수준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구조화된 진단면접(SCID-I)에서 사회불안장애 진단기준을 충족하는 49명의 사회불안장애 환자들이었다. 그 중 30명은 12회기 인지행동치료집단, 19명은 비처치통제집단에 속하였다. 두 집단 모두 치료 전, 후에 자기 보고식 증상 심각도 평가,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 평가, 얼굴 표정에 대한 탐침 탐사과제(Dot Probe Task; MacLoed, Mathews, & Tara, 1986)와 암묵적 연합 과제(Implicit Association Task, 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를 이용한 암묵적 자존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증상 심각도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가의 면접도구인 간이 사회공포증 척도(Brief Social Phobia Scale, BSPS; Davidson et al. 1991)도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 보고식 척도 및 임상가 평정으로 측정했을 때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사회불안장애집단의 증상 심각도, 일반적인 불안 및 우울 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3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둘째, 사회불안장애 환자의 경우 IOR(Inhibition of Return)이 발생하기 이전인 초기 주의 과정에서 나타났던 위협적 얼굴 표정에 대한 선택적 주의 편향이 인지행동치료를 통해서 변화하지 않았다. 셋째,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 자신-긍정 형용사의 연합 속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인지행동치료가 정보처리 초기에 나타나는 전주의적 과정의 주의 할당까지는 변화시키지 못하였지만, 상황에 대한 반복적 재평가나 위협 상황에 대한 노출, 행동 실험과 같은 인지행동치료적 개입이 보다 깊은 수준의 자기 지식을 암묵적 수준에서 변화시켰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ould result in correcting biases in both the implicit/automatic information processing level (bottom-up process) and the volitional/controlled information processing level (top-down proces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forty-nine patients diagnosed with Social Anixety Disorder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on the SCID-I. Thirty patients participated in twelve session CBT group and nineteen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 assessing self schema, and Emotional Face Dot Probe Task (MacLoed, Mathews, & Tara, 1986) assessing selective attentional bias,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Participants also completed the social anxiety measures (i.e., SDAS, B-FNE, SIAS, SPS and SISST), the other emotional measures (i.e. BDI, BAI)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In order to objectively assess the severity of the symptoms, an independent assessor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via a semi-structured interview scale, Brief Social Phobia Scale (BSPS; Davidson et al., 1991) prior to and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were treated for twelve weeks in a group therapy with one booster week after three months of treatment completion. The treatment protocol was based on Heimberg's CBG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1991). Results were as follows; (1) At the post-treatment assessment, patients who received CBT had improved significantly more than control group patients on self-report measures and independent assessor ratings. The effect sizes ranged from -.56 to 1.71 (mean=1.09). These positive gains after treatment were maintained for three month follow-up. (2) Selective attentional bias for angry facial expressions (subliminal threshold 80msec presenting) has not changed over the course of CBT. (3) In treatment group, response rates to associate the 'self and positive words' were improved after CBT. It means that the deeper level of implicit self-knowledge changed over the course of CB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through the cognitive-behavioral therapeutic interventions such as the repetitive reappraisal about the circumstances, the exposure to threatening situations, behavioral experi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