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on Daily Stress of Young Childre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3.12
27P 미리보기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 / 15권 / 2호 / 209 ~ 235페이지
    · 저자명 : 정영주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아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지속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사립유치원 2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60명(실험집단30명, 통제집단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12주동안 주 3-5회 유아 1인당 56회 실시 하였다.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의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염현경(1998)의 한국형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KPDSS)를 사용하여 집단 간 사전·사후·추후 검사 결과에 대해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후 검사의 점수에서 사전 검사의 점수를 뺀 증가분을 t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 중 ‘비난·공격적 상황 접함’ 상황과 ‘불안·좌절감 경험’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 집단 유아의 경우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경험한 10주 후에도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affects young children's response on daily stress and whether those effects continue.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does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affect young children's response on daily stress situation? 1-1. How does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affect young children's response on criticized-violent situation? 1-2. How does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affect young children's response on anxious-distressful situation? 1-3. How does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affect young children's response on pride-hurt situation? 2. Do the effects of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continu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6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private kindergartens in Chungju, Chungbuk, among whom 30 children (17 boys and 13 girl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30 children (19 boys and 11 girl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children's mean age was five years and eight months, consisting of five years and eight months for the experimental group(boys: five years and nine months, girls: five years and eight months) and five years and seven months for the control group(boys: five years and nine months, girls: five years and six months).
    The instrument was Yeom(1998)'s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KPDSS)" And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which was reconstructed by Han(2009), were conducted for 12 weeks by three or five times per week, and totally 56 times per chil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were first computed by data collection time(pre, post, and following test). In order to detect group differences of pre- and post-test scores, a series of t-tests were run on the incremental scores that were computed by subtracting pre-test score means from post-test score means from following test score. And repeated two-way ANOVA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continuous effects of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of young children's response on daily stress situation by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response on 'criticized-violent situation' and 'anxious-distressful situation' among daily stress situations. Second, the effects of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had continued after 10 weeks of experiencing activities to foster self-este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