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사인의 품질관리제도 영향 요소와 감사품질의 관련성: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외국 회계감독기구 등록 여부 및 조직운영방식 유형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Auditor’s Quality Control System and Audit Quality: Korean Evidence Based on Requirements for the FSS’s Regulatory Reviews on the Auditors’ Quality Control System, Registration with )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1.03
57P 미리보기
감사인의 품질관리제도 영향 요소와 감사품질의 관련성: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외국 회계감독기구 등록 여부 및 조직운영방식 유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학연구 / 36권 / 1호 / 125 ~ 181페이지
    · 저자명 : 이재은

    초록

    2002년 Sarbanes-Oxley법의 시행 이후 미국 PCAOB(the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는 감사인들에 대한 품질관리감리를 실시하기로 하였으며, 동시에 미국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들은 PCAOB에 회계법인 등록을 하도록 정하였다. 유사하게 국내에서도 금융감독원(금감원)은 2007년부터 한국공인회계사회에 위임했던 감사인 품질관리감리를 직접 실시하고 있으며, 상장기업 감사인 등록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또한 영국, 일본, 캐나다, 룩셈부르크 등 여러 국가의 회계감독기구들이 자국 증권시장 상장기업을 감사하는 외국 감사인들에게 자국 회계감독기구에 등록을 요구함에 따라 여러 국내 감사인들도 외국 회계감독기구에 감사인 등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감사인의 회계감독기구 등록과 감사인에 대한 회계감독기구의 품질관리감리가 이루어지면 감사품질이 향상될 것이라는 판단에 근거한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Carcello et al. 2000 등)에서는 감사인 조직의 운영방식에서 파트너쉽 이익배분풀의 규모가 감사인의 행동 및 감사품질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면서, 이익배분풀이 크고 통합될수록 전사적 품질관리노력을 더 기울이게 되어 감사품질이 더 양호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감사인의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및 외국감독기관에 등록, 그리고 금감원(2010)이 설명한 회계법인의 운영방식(즉, “One Firm 유형“과 ”독립채산제 유형“으로서, 파트너쉽 이익배분 유형과 유사) 등 감사인의 품질관리제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와 감사품질의 관련성을 실증조사한다. 연구 결과,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및 외국회계감독기구에 등록한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의 재량발생액의 절댓값은 각각 금감원 품질관리감리대상이 아니거나 외국 회계감독기구에 등록하지 않은 감사인이 감사한 기업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 결과는 Big 4 감사인과 Non-Big 4로서 동 테스트 변수 유형에 해당된 감사인의 변수 값을 구분한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또한 ”One Firm 유형” 감사인 변수는 일부 경우에 유의한 음의 계수를 나타냈다. 특히 “One Firm 유형”의 Non-Big 4 감사인의 경우에는 “독립채산제 유형” 감사인보다 감사품질이 높을 뿐만 아니라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과 비교해서도 감사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증분석 결과는 대체로 금감원의 품질관리감리 대상과 외국 회계감독기구에 등록한 감사인들은 그렇지 않은 감사인들보다 감사품질이 더 양호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뒷받침한다. 감사인 조직운영방식의 차이도 일부 감사품질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품질관리감리 제도 운영과 관련된 시사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지 않은 감사인의 금감원 품질관리감리 대상, 외국 회계감독기구 등록여부 변수 및 감사인 조직운영방식 유형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을 실증확인하고, 이들의 감사품질 대용치로서 사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Upon enactment of Sarbanes-Oxley Acts in 2002, U. S.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PCAOB) was established and began its investigations on the public accounting firms to evaluate their audit quality control system. Also, accounting firms, including foreign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 U. S. stock exchanges are required to register with the Authority. In Korea,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the Korean regulatory authority, implemented its quality control review program on Korean accounting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s in 2007. Before then, such quality control reviews on the Korean accounting firms had been performed only by Kore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KICPA). Also, FSS is presently preparing for a registration rules for auditors of Korean public companies.
    Similarly, EU and Japan regulatory authorities have changed their regulatory systems including registration requirements for the third country accounting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 listed in their national stock exchanges, and the relevant regulations also include the authorities’ quality control review program on the registered accounting firms located in the third countries. Many Korean auditors have registered with those foreign regulatory authorities to comply with these requirements. These global changes are based on the assumptions that auditor registration and regulatory authority’s investigation on the quality controls of the (registered) auditors would eventually improve audit quality.
    In addition, Carcello et al.(2000) and others reported that the auditor’s partnership profit-sharing pool siz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auditors’ audit quality. This could be explained that the auditors with partnership’s larger size profit- sharing pools promote more centralized firm-wide quality control efforts to minimize risks of audit failures, which eventually improve the firm-wide audit quality.
    This study is to find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factors affecting auditors’ quality control systems and audit quality. For this purpose, I used the auditor group variables whether they are (1) subject to FSS’s quality control reviews, (2) under registration with the foreign regulatory authorities, and by (3) auditors’ profit-sharing scheme types (i.e. “One Firm” type vs. “Simple Unity” type, as referred in the Briefing Report for FSS’s Quality Control Reviews released by the Authority in October 2010). I found that the first two factors [(1) and (2)] generally have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 with (absolute) discretionary accruals of the audited clients. Additional tests by dividing the test variables into Big 4 groups and Non-Big 4 groups also show similar results. Group classification by auditors’ operation types [factor No. (3)]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audit quality only for the case of “One Firm” type Non-Big 4 auditors compared to other Non-Big 4 auditors. These results generally supports the propositions of this study that auditors’ requirement for (1) FSS’s quality control review, (2) registration with foreign regulatory authorities and (3) auditors’ profit-sharing scheme types would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etter audit quality, and also provide certain policy implications with respect to FSS’s auditor quality control review program to consider voluntary quality control efforts of auditor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find that the auditors' quality control factors have positive association with deterrence of earnings management of the audited clients. Especially, the above three variables used in this paper are different from the ones test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include the results of quality control peer-reviews conducted by the AICPA or the KICPA(Casterella et al. 2006; Gunny and Zhang 2009; Kwon et al. 2010), the results of independent investigations by PCAOB as well as peer review(Hilary and Lennox 2005) or the third party governmental division’s quality control review(Deis and Giroux 1992). Similarly with this study, Krishnan and Schauer(2000) used peer-review dummy variables, but it is still different from this study in a sense that I used public regulator dummy such as FSS’s quality control review or foreign regulatory authority registration. Accordingly, this study’s results would potentially provide another auditor quality proxies for future research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