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온라인 컴퓨터 실습수업을 위한 실재감 설계원리 개발연구 (Development Research on Presence Design Principles for Online Computer Practice Course at Universit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2.03
19P 미리보기
대학 온라인 컴퓨터 실습수업을 위한 실재감 설계원리 개발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6호 / 417 ~ 435페이지
    · 저자명 : 김진솔, 박가영, 이정민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컴퓨터 실습 관련 문헌 분석과 컴퓨터 실습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들의 경험 분석을 바탕으로 온라인 컴퓨터 실습수업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실재감 설계원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온라인 실습수업 설계원리의 개발을 통해 온라인컴퓨터 실습수업 개발 및 실행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Richey와 Klein(2007)이 제안한 설계 개발 연구(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Garrison, Anderson, & Archer (2010)의 실재감 프레임워크에 근거하여 선행문헌을 분석하였으며, 온라인 컴퓨터 실습 경험이 있는 11명의 학습자 면담을 통하여 초기 수업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후 초기 설계원리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교육공학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온라인 컴퓨터 실습수업을 개발하고 운영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고, 전문가의견을 반영하여 설계원리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인지적 실재감 관련 원리 3가지(1. 관련성이 높은 수업 설계, 2. 개별 학습자의 학습과정 지원, 3. 풍부한 수업 자료제공), 사회적 실재감 관련 원리 2가지(4. 동료학습자와의 상호작용 기회 부여, 5..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기회 부여), 교수실재감 관련 원리 4가지(6. 학습자에게 코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 7. 실습수업에 최적화된 환경 설계, 8. 구체적인 피드백 및 안내 제공, 9. 학습자들의 유능감 증진)가 개발되었다. 또한 각 설계원리를 구현할 때 필요한 총 28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온라인 컴퓨터 실습수업 설계 시 고려 사항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원리를 실제로 개발하고 적용하는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lated to online computer practice and the experience analysis of learners who took computer practice courses, the study intends to derive the principles that can be used in designing online computer practice courses based on a sense of pres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computer practice cours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online practice class design principles.
    Methods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proposed by Richey and Klein (2007) was applied. First, the preceding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the framework of presence of Garrison, Anderson, and Archer (2010), and the initial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through interviews with 11 learners who had online computer practice experience. Afterwards, to validate the initial design principle, an expert review was conducted by 7 experts who had a doctorate in educational technology or who had experience in developing and operating online computer practice cours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principles related to cognitive presence (1. Instructional design with high relevance, 2. Supporting individual learners' learning courses, 3. Providing abundant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wo principles related to social presence (4. Giving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peer students, 5.. Granting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instructors), four principles related to teaching presence (6. Providing learners with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course, 7. Designing an environment optimized for practical courses, 8. Providing specific feedback and guidance, 9. Improving learners' competence) were developed. In addition, a total of 28 detailed guidelines required for implementing each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principles and guideline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n considerations in designing online computer practice courses were provided,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develop and apply the design principles presented in this study was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