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학생들의 테크노스트레스와 행복감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tudents’ Technostress and Happiness on the Use of Smart Devic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학생들의 테크노스트레스와 행복감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22권 / 2호 / 295 ~ 324페이지
    · 저자명 : 이신희, 김미량

    초록

    스마트기기의 급속한 발전은 새로운 디지털 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스마트폰을 위시로 한 스마트기기는 일생생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처럼 거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 버렸다. 스마트기기의 발전은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그들의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은 스마트기기 사용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그것에 집중하고 일상의 즐거움을 얻으면서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나름대로 삶의 의미와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기기에 대한 집중과 지나친 사용은 테크노스트레스(technostress)라는 새로운 형태의 스트레스로 학생들에게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스마트기기 사용의 몰입이 그들의 삶의 즐거움과 연결된다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며 행복을 추구하는 학생들이 진정으로 행복한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된다. 더욱이 지금까지 테크노 스트레스원에 의해 유발된 테크노스트레스와 개인의 행복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의문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사용으로 유발된 테크노스트레스가 스마트기기 사용에 몰입하고 있는 학생들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테크노스트레스가 스트레스대처방식, 자아탄력성 및 디지털 디톡스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탄력성 및 디지털 디톡스가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소재의 중학생 393명과 고등학생 525명, 총 9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테크노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탄력성, 디지털 디톡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테크노스트레스는 행복감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중심 대처방식, 자아탄력성 및 디지털 디톡스를 통하여 행복감에 미치는 간접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테크노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문제중심 대처방식, 자아탄력성, 디지털 디톡스가 행복감과의 관계에 있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테크노스트레스를 알리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인지하도록 도와주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테크노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적극적인 활용, 자아탄력성 증진 및 디지털 디톡스 실천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rapid progress of smart devices has formed a new digital culture. Above all,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combined with the Internet have become a daily necessity and the center of life. This development of smart devices has also affected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ir lives, and while spending a lot of time on the use of smart devices, concentrating on it, and getting the enjoyment of everyday life, they are pursuing their own meaning and happiness in life through smart devices. However, inordinate focus on smart devices and excessive use of them is causing students a new kind of stress as a side effect called technostress. In spite of this situation, if students’ immersion in the use of smart devices is connected to the enjoyment of their lives, there is some question about whether the students, who pursue their own happiness through smart devices, are truly happy. Moreover, researches so far have been rarely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caused by techno-stressors and individual happiness. Therefore, with this issue as the background,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the technostress due to the use of smart devices have an impact on the students’ happiness. In addition, the impact of students’ technostress on their stress-coping methods, ego-resiliency, and digital detox - the intervening variables for this study - was analyzed. and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stress-coping methods, ego-resiliency, and digital detox affect happiness.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393 middle school students and 525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918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chno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tress-coping method, ego-resiliency, and digital detox. The technostress was analyzed to have no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while the indirect effect of technostress on happiness was significant through the problem-focused coping, ego-resiliency, and digital detox. It was proved that regarding the impact of technostress on happiness, the problem-focused coping, ego-resiliency, and digital detox were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ways to help students become apprised of technostress and aware of technostress were proposed. Moreover,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happiness and to alleviate their technostress, ways to use the problem-focused coping, to increase ego-resiliency, and to practice digital detox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