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정체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Career Identity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4.09
27P 미리보기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정체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취업진로학회
    · 수록지 정보 : 취업진로연구 / 14권 / 3호 / 131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주안, 안성식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MZ세대 간호대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이직하고 더 나은 보상과 일을 추구하며 자신과 맞지 않는 직장은 쉽게 이직하여 이들이 자기효능감이 낮을 경우 정로정체감과 이직의도는 더욱 심화 할 수 있다. 신규간호사의 1년 이내 사직율은 52.8%(2021)로 사직 이유는 업무부적응이 32.6%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설문지 140부에 대한 양적연구를 통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 의해 산출된 개념 신뢰도(CR)와 평균분산추출 값을 활용하였다. 측정항목의 판별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에 의해 산출된 평균분산추출(AVE) 값과 피어슨 상관계수 제곱 값을 비교하여 검정하였다.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구조방정식 모형과 단순·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정체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총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마인드, 끈기, 자신감, 조직적인 성향이 강할수록 진로정체감이 커졌다. 둘째,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끈기, 조직적인 성향, 자신감, 긍정적 마인드가 강할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졌다. 셋째,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로정체감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졌다. 넷째,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MZ세대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라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의 형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학문적으로 교육적 환경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필요하며, 임상현장의 이해와 교육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career identity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These students are known for actively pursuing better compensation and work opportunities, and they are quick to leave workplaces that do not align with their values. If their self-efficacy is low, it can further intensify issues related to career identity and turnover intention. In 2021, the resignation rate for new nurses within the first year was 52.8%, with job maladjustment being the most common reason at 32.6%. This suggests that self-efficacy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se outcom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elf-efficacy influences career identity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ntitative approach with 14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reliability (CR)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values were derived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were used to validate the measurements. To test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AVE values obtained from CFA were compared with the squar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turnover intention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urthermore,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tes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key points. Firs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mpact on career identity among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It was observed that a stronger positive mindset, perseverance, confidence, and organizational tendencie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sense of career identity. Second, self-efficacy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turnover intention; as students’ perseverance, organizational tendencies, confidence, and positive mindset increased, their intention to leave decreased. Third, the study found that career identity nega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indicating that higher career identity is associated with lower turnover intention. Lastly, whe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identity served as an important mediator, reinforcing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turnover intention among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ostering self-efficacy among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Recognizing the formation of self-efficacy as crucial, there is a need for foundational data to develop academic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support these aspects. Th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understanding and education within clinical settings is vital,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programs tailored to these needs is necessa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