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사인 지정과 감리지적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ditor Designation and FSS Enforcement Action on Audit Report La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2.08
22P 미리보기
감사인 지정과 감리지적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19권 / 4호 / 239 ~ 260페이지
    · 저자명 : 김은, 김진태

    초록

    감사인 지정제도는 국내에서만 존재하는 제도로써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국내에서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 지정 여부, 지정사유 중 감리지적이 감사시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감사시차의 대용치로 LAG1과 LAG2를 사용하여 다양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기간은 2003년부터 2009년의 7년으로, 검증대상은 상장기업 중 비금융업에 속한 12월 결산 법인을 대상으로 8,170개의 기업/연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회계 연도 종료일부터 감사보고서 보고일, 즉 DART에 공시한 일까지의 경과 일수”에서 “감사인이 의견형성에 필요한 증거자료를 충분히 얻었다고 판단하여 현장 감사를 완료하고 현장에서 철수한 날”을 차감한 일수(LAG1) 를 종속변수로 하는 축소모형에서 감사인 지정은 감사시차와 비유의적인 값을 보인다. 또한 확대모형에서도 감사인 지정과 감리지적은 감사시차와 비유의적인 값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LAG1의 누적일수가 짧아 비유의적인 값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된다. 두 번째로 “회계 연도 종료일부터 감사보고서 보고일, 즉 DART에 공시한 일까지의 경과 일수”(LAG2)를 종속변수로 하는 축소모형에서 감사인 지정은 감사시차와 음의 유의한 값을 보인다. 이는 감사인 지정기업의 경우 비지정기업에 비하여 감사시차가 짧은 것을 보여준다. 감사인 지정제도가 그 자체로 강력한 규제장치이기 때문에 독립성이 높은 지정 감사인이 감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감사의견과 관련하여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의견조율이나 충돌 가능성이 낮아 감사의견 형성의 어려움 또한 낮다고 할 수 있다. LAG2를 종속변수로 하는 확대모형에서 감사인 지정은 감사시차와 비유의적인 값을 보인다. 지정사유중 감리지적은 감사시차와 음의 유의성을 보인다. 이는 감리지적기업은 감리지적이외 기업 보다 감사시차가 짧은 것을 보여준다. 감리지적기업은 독점적인 지위에 있는 독립성이 높은 지정감사인이 감사를 함으로 인해 감사의견과 관련하여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의견조율 가능성이 적어 감사시차가 짧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감리지적기업의 감사시차가 짧은 것은 이미 기업의 많은 내용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상태에서 경영자가 감사인과 더는 타협을 시도할 여지가 적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감사인 지정제도와 감리지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러한 제도들과 감사시차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감사시장이 효율적으로 기능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며, 향후 정책연구와 감사 실무에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auditor designation is a system that exists only in Korea, and, although numerous studies on this have been undertaken domestically, in this study various empi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verify what influences are exerted on the audit report lag by auditor designation and FSS enforcement action. The survey did so by using the sample that consisted of 8,170 (firm/year) observations of companies listed non-financial institutes Korean firms during 2003~2009, which fiscal year ends at Decemb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auditor designation in a scale model that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number of days (LAG1) that deducted the “day of completion and closing of site audit since it was considered that sufficient evidentiary data needed by an auditor to form an opinion had been collected” from “the number of days between fiscal year-end and audit report announcement date, i.e., the number of elapsed days disclosed in the DART”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In addition, even in an expanded model the auditor designation and FSS enforcement action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ults are attributable to the brevity of the number of days of LAG1.
    Second, the auditor designation in a scale model that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number of days between the day of fiscal year-end and audit report announcement date, i.e., the number of elapsed days disclosed in the DART” (LAG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This shows that, in the case of firms with designated auditors, the audit report lag is short as compared to firms without designated auditors. It can be stated that auditor designation system, because by itself it is a powerful regulatory device, a highly-independent designated auditor can conduct audits effectively, and that the chances of opinion coordination or conflict between CEO and auditor would be low as well in regard to audit opinions.
    In an expanded model that uses LAG2 as a dependent variable, auditor designation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values with audit report lag. FSS enforcement 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udit report lag. This showed that, in the case of firms with FSS enforcement action, audit report lag is short as compared to firms without FSS enforcement ac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because a highly-independent auditor with a monopolistic status would conduct audits for firms with audit designation, the chances of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CEO and auditor is low in regard to audit opinions, therefore, audit report lag is short. Furthermore, it can be viewed that the reason why audit report lag is short for firms with FSS enforcement action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for further negotiations between CEO and auditor since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firms is already widely expos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by raising the understanding of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FSS enforcement action, an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ype of system and audit report lag, will propose discussion points regarding the effective operation of audit market in Korea, and also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policy studies and audit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