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謙齋 趙泰億의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and of Gyeomjae(謙齋) Jotaeeok(趙泰億))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1.03
32P 미리보기
謙齋 趙泰億의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7권 / 129 ~ 160페이지
    · 저자명 : 이승용

    초록

    이 논문은 謙齋 趙泰億(1675∼1728)의 시문학 가운데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을 중심으로 작품의 실제와 그 양상을 고찰해보고,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이 「感君恩」 계열의 다른 작품과 지니는 변별점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태억의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은 君恩에 감사하는 노래나 일상적인 삶의 만족감을 피상적으로 형상화한 기존 「感君恩」 계열의 작품과 달리 자신이 거쳤던 관직의 이력과 그 속에서 겪었던 사건들을 소재로 그에 대한 기억과 감회를 연작의 형식으로 재구성하였다. 또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의 각 작품 아래에는 작품과 관련된 사건 및 배경이 自註로 상세하게 附記되어 있다.
    먼저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은 내용과 구성 방식에 있어 기존 「感君恩」 계열의 작품과 현격한 차이가 있다.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은 기존 작품과 동일하게 「感君恩」이라는 제목 아래 겉으로는 君恩을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내용을 살펴보면 단순히 君恩에 대한 찬양보다는 평생 동안 자신이 겪었던 관력에 대한 기록과 함께 사적인 기억과 회고가 위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특히 숙종∼영조 대에 당쟁이 치열하던 시기를 배경으로 창작한 「後感君恩」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이전 「感君恩」 계열 작품에서 전혀 시도되지 않았던 방식이다.
    다음으로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은 주로 短句로 이루어진 기존 「感君恩」 계열의 작품과 달리 7언 절구를 기본으로 하는 連作詩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연작의 형식을 통해 시의 소재가 특정한 한 시점에 국한되지 않고 을해년(1695, 숙종21)부터 병오년(1726, 영조2)까지 31년 동안 겪었던 정치적 사건, 君恩에 대한 감사의 마음, 자기의 일신에 관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작품에 담아내었다. 한 편의 年譜에 비견될 만큼 자세한 자신의 정치적 행보와 자기 변론을 작품에 담아낼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연작의 형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결과이다. 또 조태억의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은 君恩에 대한 찬양보다는 자신이 당면한 현실 속에서 겪었던 정치적 시련과 그 속에서 견지했던 정치적 입장과 자기 변론을 작품에 담아내고 있는데, 이는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이 내포하고 있는 또 다른 창작 목적과도 관련이 있다.
    마지막으로 「前感君恩」과 「後感君恩」이 문학 작품이지만 조태억의 주요 官歷과 그의 평생을 담고 있어 후손이나 제자들이 기록한 피상적인 年譜와 달리 자신이 직접 기록한 생생한 年譜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조태억의 생애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reality and aspects of Gyeomjae(謙齋) Jotaeeok(趙泰億)'s poetry, <Jeongamguneun(前感君恩)> and <Hugamguneun(後感君恩)>, which have not been studied so far. In addition, the distinction points of <Jeongam- guneun(前感君恩)> and <Hugamguneun(後感君恩)> were investigated comparison to the <Gamguneun(感君恩)> series and their meaning.
    <Jeongamguneun (前感君恩)> and <Hugamguneun(後感君恩)> of Jotaeeok(趙泰億) are different from songs of appreciation for the king's grace or the existing <Gamguneun(感君恩)> works, which superficially express the joys of everyday life. It was re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eries according to the age. In addition, under each of the works of <Jeongamguneun(前感君恩)> and <Hugamguneun (後感君恩)>, events and backgrounds related to the creation of the work are described in detail. This work is well worth researching as it is an important material that can closely illuminate his life and his perception of re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Jotaeeok(趙泰億)'s <Jeongamguneun(前感君恩)> and <Hugamguneun(後感君恩)> from <Gamguneun(感君恩)>'s works lies in the fact that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Gamguneun(感君恩)>'s works in terms of content and composition. <Jeongamguneun(前感君恩)> and <Hugam- guneun(後感君恩)> use the same title as 'Gamguneun(感君恩)' as in previous works, and on the surface show the grace of the king.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it is seen that the contents of the work, are centered around his personal memories and recollections, along with a record of his experience during his lifetime, rather than simply praising the king's grace. This method of composition is particularly remarkable in <Hugamguneun(後感君恩)> creat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fierce party period in the Sukjong(肅宗) Age to Youngjo(英祖) Age. This is a method that has not been attempted at all in the previous series of <Gamguneun(感君恩)>series.
    Next, unlike the existing <Gamguneun(感君恩)> series mainly composed of short sentences, <Jeongamguneun(前感君恩)> and <Hugamguneun(後感君恩)> take the form of a series of poems based on 7 line stanzas (七言絶句). Through the format of a series of works, the subject matter of the poem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oint in time, but a period of 31 years covering the political events from 1695 to 1726. Moreover, gratitude for the king's grace, and stories about himself are effectively captured in the work. In addition, the poems contain detailed narratives on their political actions and self-defense compared to a chronology of one's life, because they effectively utilized the format of this series. This is not utilized by Jotaeeok(趙泰億)' <Jeongamguneun(前感君恩)> and <Hugamguneun(後感君恩)> simply to plead the grace of the king, but to describe the political stance he held amidst the political trials and realities he suffered. It has to do with the purpose of self-defence.
    Lastly, <Jeongamguneun(前感君恩)> and <Hugamguneun(後感君恩)> are temporary works, but they contain narratives about Cho Jotaeeok(趙泰億)' major office history and his life. In this respect,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has the character of a vivid chronology of one's life recorded by himself, unlike the superficial chronology of one's life recorded by his descendants or disci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