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주이자 규제에 관한 법제사적 고찰 (Legal Historical Review on the Deemed Interests Regul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4.01
31P 미리보기
간주이자 규제에 관한 법제사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58권 / 1 ~ 31페이지
    · 저자명 : 김대규

    초록

    이자 총액에 대한 전통적인 규제는 이자가 원본을 넘지 못하도록 하는 ‘일본일리(一本一利)’의 법이라 할 수 있다. 이는 20세기 초 이자 제한에 관한 근대적 단행 법률인 대한제국의 ‘이식규례(利息規例)’에서 명문화되었다. 이식규례(利息規例)에는 최고이자율을 정하면서 이자의 총량 억제에 중점을 두었을 뿐 ‘간주이자’ 규정을 두지 않았다. 왜냐하면 조선에서는 각종 수수료나 대출사례금 또는 선이자(先利子) 공제 등의 관행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에서 각종 수수료나 대출사례금 또는 선이자(先利子) 공제 등의 관행이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통상 자주권이 훼손당한 1876년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체결 이후부터다. 제일은행 등 일본계 은행과 함께 대금업자들이 조선에 진출하면서 기한(期限), 이자(利子), 전당물 보관 방법 등에 관하여 대금업에 관한 일본의 특수한 관습을 조선에 관철했다. 이와 함께 메이지 인플레이션을 배경으로 신용할당(credit allocation)이 이루어지면서 수요초과가 극심하여 선이자 수취나 대출사례금, 체당금 등의 대출 관행이 만들어지고 조선에 이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각종 수수료는 물론이고 사례금이나 체당금, 선이자 수취의 관행은 일본 화폐의 통용과 금융시스템 지배라는 외적 조건과 결합하면서 조선인 채무자에 대한 약탈적 성격이 두드러졌다.
    왜식 대부 관행의 이식과 함께 간주이자 규제도 1911년에 총독부령으로 이식규례를 대체한 ‘이식제한령(利息制限令)’에 의해 이식됐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고 흘러 메이지 시대나 한국전쟁 이후의 극심한 인플레이션이나 신용할당을 체감하기 어려운 요즘에도 간주이자 규제는 변함없이 그대로다. 조선조 대전속록(大典續錄) 의 서문에서는 “만약 법이 오래 되면 폐단이 생기므로 마땅히 법을 개폐해야 할 때가 되었는데도 부질없이 구장(舊章)만을 지키고 변통하지 아니하면 교주고슬(膠柱鼓瑟)과 같을 것이니 어찌 숭상할 만한 일이겠는가”라고 하였다.
    간주이자 규제를 이식한 일본에서도 수수료 기반의 영업모델을 제약하는 폐단이 생겨 적용 예외를 확대하고 있다. 우리도 간주이자 규제의 경제적, 사회적 배경이 달라진 만큼 변법(變法)을 모색하여 교주고슬(膠柱鼓瑟)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traditional regulation on the total amount of interest can be said to be the principle that interest does not exceed the original. This was stipulated in the Korean Empire's 'Interests Regulations, a modern law on interest restrict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Interests Regulation focused on suppressing the total amount of interest while setting the maximum interest rate, but did not stipulate 'Deemed Interest'. This was because there were no customs such as various fees, loan deposits, or pre-interest deduction in Korean Empire.
    Practices such as various fees, loan deposits, or deduction of pre-deductible interest appeared in Jo-seon after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Trade and Market Open Treaty in 1876, when Korea's ordinary sovereignty was damaged. As lenders, along with Japanese banks such as Cheil Bank, entered Joseon, they carried out special Japanese customs regarding the payment business regarding benefit time, fixed interest rate and methods of storing pawnbrokers. In addition, as credit allocation was carried out against the backdrop of Meiji inflation, excess demand was severe, and loan practices such as deposits, discounts, fees, deductions and overdue interest were created and transplanted into Jo-seon. In particular, the practice of receiving various fees, as well as deposits, substitute payments, and pre-interest payments, combined with external conditions of the use of Japanese currency and control of the financial system, stood out against Korean debtors.
    Along with the transplantation of the Japanese style godfathering practice, the regulation of deemed interest was transplanted by the japanese colonial ‘Interests Regulation’ 1911, which replaced the transplant rule as the Governor-General's Office. However, the regulation of deemed interest remains the same even today, when it is difficult to feel extreme inflation or credit allocation during the Meiji period or after the Korean War as the years go by. In the preface of the Joseon Dynasty's "Daejeon Sokrok," he said, "If the law is long, it will be a waste, so it is time to open and close the law, but if it is not changed, it will be like a ‘hard and fast rules(膠柱鼓瑟), so how can it be admired?" In Japan, where the deemed interest regulation was transplanted, there have been disadvantages that limit the fee-based business model, and the exceptions are expanding. As the economic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deemed interest regulation has changed, we should also seek a modification to prevent ‘hard and fast ru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