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릉 봉안 서책과 규장각의 역할 (Enshrining of Books in Geonneung(健陵) and Roles Played by Kyujangga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0.06
30P 미리보기
건릉 봉안 서책과 규장각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규장각 / 56호 / 245 ~ 274페이지
    · 저자명 : 조계영

    초록

    조선 후기의 왕릉에는 부장품의 하나로 서책을 봉안한 전례가 계승되었다. 특히 원릉에 봉안한 서책은 정조가 장황과 발인반차의 御製채여까지 결정했다. 국장도감과 산릉도감은 왕릉에 서책을 봉안하기 위해 필요한 궤와 石函을 제작했다.
    본 논문은 건릉에 서책을 봉안하는 과정에서 규장각이 담당한 역할을 규명했다. 1776년에 정조는 어제의 편찬과 봉안을 주관하는 규장각을 건립했다. 정조의 승하 후 규장각은 건릉에 봉안할 서책을 마련하고 灰函을 제작했다.
    건릉 이전의 봉안 서책은 국장도감에서 발인할 때 채여에 싣고 산릉으로 옮겼는데, 건릉에서는 규장각의 검서관이 架子에 싣고 발인 전에 능소로 운반했다. 건릉에는 정조가 생전에 정한 『三經四書大全』을 비롯해 『弘齋全書』와 『四部手圈』을 봉안했다. 19세기의 왕릉에는 건릉이 전례가 되어 규장각이 봉안할 어제를 주관했다.

    영어초록

    The precedent custom of enshrining books as grave goods was followed at the royal tomb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the books enshrined in Wonreung, King Jeongjo himself decided the Janghuang (bookbinding) and the Eojechaeyeo of Balinbancha (royal carriage of the funeral procession). Gukjangdogam (the governmental office for state funeral) and Sanreungdogam (the governmental office of royal tombs) prepared the containers and stone boxes for enshrining books in the royal tomb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s played by Kyujanggak in the process of enshrining books in Geonneung. In 1776, King Jeongjo established Kyujanggak as a national library to supervise the publishing and enshrining of King’s writings. After the death of King Jeongjo, Kyujanggak prepared the books to be enshrined and limestone boxes for the enshrinement.
    Before Geonneung, the books to be enshrined were carried on Chaeyeo (a royal carriage) to Sanreung (a royal tomb located on a mountain) through the funeral procession managed by Gukjangdogam. In the case of Geonneung, the books were carried by Geomseoguan (book examiner) of Kyujanggak to Neungso (site of royal tomb). The books enshrined in Geonneung included Samgyeongsaseodaejeon (Three Books and Four Classics), decided by King Jeongjo when he was alive, as well as Hongjaejeonseo (collection of King Jeongjo’s writings) and Sabusugwon (excerpts from Gyeongsajajip favored by King Jeongjo). In the 19th century, the royal writings were enshrined by Kyujanggak by following the example of Geonne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규장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