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서각소장 왕실보첩류의 종류와 현황 (The Present Situation of Possession of a Collection of Royal Family Genealogies and It Sorts in Jangseogak)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1.09
50P 미리보기
장서각소장 왕실보첩류의 종류와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44호 / 121 ~ 170페이지
    · 저자명 : 성봉현

    초록

    본고는 대표적인 왕실보첩 소장처인 장서각의 왕실보첩 소장현황과 그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장서각에 소장된 왕실보첩류는 약 822종에 5,280책 이다. 장서각 소장 왕실보첩의 종류는 『璿源錄』, 『宗親錄』, 『類附錄』, 『宗親錄類附錄合本』, 『當代璿源錄』, 『璿源加現錄』, 『宗親加現錄』, 『類附加現錄』, 『宗親錄類附加現錄合本』, 『璿源加現十代錄』, 『璿源系譜記略』, 『敦寧譜牒』, 『御牒』, 『列聖王妃世譜』, 『列聖八高祖圖』, 『璿源續譜』 등 약 등 20여 종에 이른다.
    이러한 왕실보첩은 왕실구성원을 중심으로하는 조선사회의 핵심 지배층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본 자료이다. 그리고 왕실구성원과 혼인관계를 통한 상층 지배신분층의 인적네트워크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사회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또한 사가족보와 편찬방식이 다르다는 점에서 족보사적으로도 중요하다.
    왕실보첩의 몇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왕실보첩은 사가족보가 세보世譜인데, 비하여 왕친보王親譜이다.
    둘째 사가족보에서는 시조이하 모든 자손들을 적서에 관계없이 수록 수록하지만, 왕실보첩에서는 왕실의 직계는 『璿源錄』에 대군(大君)과 군(君)의 자손은 『宗親錄』에 공주와 옹주의 자손 및 서얼(庶孼)은 『類附錄』이라 하여 각각 별보로 작성한다.
    셋째 왕실보첩은 왕실의 친인적을 파악하기 위한 족보이어서 사가족보에 비하여 수록되는 인물의 전기사항을 매우 소략하게 기술하였다.
    넷째 『선원록』이나 『유부록』에는 여성의 이름과 출생년, 첩녀妾女인 경우에는 모母의 신분과 성명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딸이 후취로 혼인한 사실, 첩녀가 다시 양반의 첩으로 시집간 사실이 기록된 유일한 족보이다. 초취와 후취가 있을 경우 자녀의 모母가 누구인지 기록하였다. 이런 점에서 왕실보첩은 조선전기 여성사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다섯째 왕실보첩은 사가족보의 전범이 된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왕실보첩은 대부분 필사본으로 소수만 간사된 유일본이라 할 수 있다.
    일곱째 사가족보가 문중 중심의 사찬이었던 반하여 왕실보첩은 종부시 등에서 편찬한 관찬자료로 신뢰성이 높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writing is to look into the present situation of possession of a collection of royal family genealogies and it sorts in Jangseogak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lace of possession of royal family genealogy.
    The royal family genealogy possessed by Jangeogak consists of 5,280 books in about 822 sorts. The sorts of the royal family genealogies are roughly estimated at about 20 including 'Seonwonrok'『璿源錄』, 'Jongchinrok'『宗親錄』, 'Ryuburok'『類附錄』, 'Jongchinrokryuburokhapbon'『宗親錄類附錄合本』, 'Dangdaeseonwonrok'『當代璿源錄』, 'Seonwongahyeonrok'『璿源加現錄』, 'Jongchigahyeonrok'『宗親加現錄』, 'Ryubugahyeonrok'『類附加現錄』, 'Jongchinrokryubugahyeonrokhapbon'『宗親錄類附加現錄合本』, 'Seonwongahyeonsipdaerok'『璿源加現十代錄』, 'Seonwongyebogirayak'『璿源系譜記略』, 'Donnyeonggyecheop'『敦寧譜牒』, 'Eocheop'『御牒』, 'Yeolseongwwangbisegi'『列聖王妃世譜』, 'Yeolseongpalgojodo'『列聖八高祖圖』, 'Seonwondokbo'『璿源續譜』, etc.
    Such a royal family genealogy is the basic data needed for researching the key establishment in Joseon society with royal family members in the center.
    In addition, the royal family genealogy is vital to the understanding of Joseon society in that it enables us to grasp the human network of the ruling upper classes through the ties of in-laws with the royal family members; in addition, it is also very important as a genealogical history in that it's different from the historian-compiled genealogy in its compiling metho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family genealogy are as follows:First, the royal family genealogy is the one for king's clansmen whereas the historian-compiled genealogy is for one family's direct generations.
    Second, the historian-compiled genealogy includes all descendants starting from their progenitor regardless of legitimate or illegitimate descendants, but the royal family genealogy was recorded in the extra genealogy individually; for example, the direct line of descent was recorded in Seonwonrok『璿源錄』; the descendants of 'Daegun' and 'Gun' were recorded in 'Jongchinrok' and the descendants and children of a princess and king's concubine were recorded in 'Yuburok.'Third, the royal family genealogy is the one for grasping its relatives, so the biographical matters of the recorded persons were briefly described comparing to the historian-compiled genealogy.
    Fourth, 'Seonwonrok'『璿源錄』 or Ryuburok『類附錄』 included a woman's name and birth date and the mother's status and name in case of a concubine's daughter. Particularly, 'Seonwonrok' and 'Ryuburok' are the only genealogies including the fact of a daughter's marriage as one's second wife, and the fact of a marriage of a concubine's daughter to yangban. In addition, it recorded who was children's mother in case a person had the first concubine and second concubine. In this respect, the royal family genealogy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research on women's history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Fifth, the royal family genealogy seems to be an exemplary norm of the historian-compiled genealogy.
    Sixth, the royal family genealogy can be called the only text with only a few collected outside as mostly a manuscript.
    Seventh, the royal family genealogy is in high reliability as the government-compiled data by Jongbusi or other governmental offices whereas the historian-compiled genealogy was a family-centered personal compil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