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역사서술4) 當代史의 整理5) 역사의 文學化Ⅳ. 현존사서의 사학사적 성격1) 東明王篇2) 海東高僧傳3) 帝王韻紀4) 이제현의 史學Ⅴ. 맺음말Ⅰ. 머리말高麗後期의 역사 서술 ... 大王이래 元宗까지를 서술하고, 世系圖를 첨가한 체제였다.(13) 璿源錄충렬왕 때 同修國史를 지낸 바 있고, 元의《世祖事蹟》을 撰하기도 했던 임익이 敎旨를 받아 편찬한 것이다.(14
된다.일반 백성들의 족보 편찬에 앞서 조선 왕실에서는 1412년(태종 12)에 《선원록 璿源錄》· 《종친록 宗親錄》· 《유부록 類附錄》이 작성되었는데, 이는 태종이 서얼차대법을 제정 ... 하고 난 다음 종실에서도 적서(嫡庶)를 명확히 구분하여 명분을 바로잡겠다는 의도에서 나왔다.이로부터 왕실에서는 《국조보첩 國朝譜牒》·《당대선원록 當代?源錄》·《열성팔고조도 列聖八高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