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생각[念]과 깨달음[覺]의 관계성 -원효와 법장의 주석을 중심으로- (The Relation between Nien(念) and Chiao(覺) in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focused to the texts of Won-hyo(元曉) and Fa tsang(法藏)-)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1.02
23P 미리보기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생각[念]과 깨달음[覺]의 관계성 -원효와 법장의 주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7호 / 63 ~ 85페이지
    · 저자명 : 강명희

    초록

    『대승기신론』은 해석분에서 제일 먼저 論의 正義를 나타내는 핵심내용을 기술한다. 즉 논의 정의에서 진여문과 생멸문을 나누고 둘의 화합기조로 아리야식을 내세우고, 이 아리야식에는 깨달음의 覺과 깨닫지 못함의 不覺의 이치가 있다고 한다. 이 때, 『대승기신론』은 각과 불각의 차이로 생각의 相을 결정적으로 들고 있다. 즉 깨달음의 정도의 차이는 생각[念]에 기인한다고 보고 불각에서 각으로 가는 시각의 과정에 수행 단계, 생각의 상태, 그에 상응한 깨달음의 명칭을 구체적으로 밝힌다. 그 특징을 간략히 세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깨달음의 과정에 네 단계 즉 凡夫位, 二乘과 初發意菩薩位, 法身菩薩位, 菩薩地盡과 佛位로 나눈다. 둘째는 네 단계 각각에 생각이 일어나는 상태[相]의 차별성을 설명한다. 즉 범부위는 악한 생각의 소멸인 滅相으로 설명하고, 이승과 초발의보살위는 한 생각이 다른 생각으로 전환되는 異相으로 설명하며, 법신보살은 한 생각이 유지되는 상태인 住相으로 설명하며, 보살지진은 생각이 처음 생겨난 상태인 生相과 근본무명의 미세한 움직임인 動相으로 설명한다. 佛은 初相과 미세한 번뇌의 움직임이 없고 진여의 성품을 보기 때문에 無相으로 설명한다. 셋째는 법신보살의 단계부터는 깨달음이 진전되면서 생각의 거침[麤]과 미세함[細]으로 나누고 단계별 깨달음에 대하여 고유한 명칭을 부여한다. 이승과 초발의보살의 깨달음은 생각의 상태가 있기 때문에 相似覺이라고 하고, 법신보살의 깨달음은 부분적인 깨달음을 성취하였기에 隨分覺이라고 하고, 菩薩地盡과 佛은 생각의 단초와 움직임이 사라졌기 때문에 究竟覺이라고 명명한다. 상사각은 집착상과 거칠게 분별하는 생각작용이 떨어진 것이며, 수분각은 마음이 생각의 대상에 대하여 집착하지 않아서 거친 생각의 대상에서 분리되는 것이며, 구경각은 미세한 생각에서 완전하게 분리된 것이라고 한다. 이에 대하여 원효는 범부위의 7가지 멸상과 이승과 초발의보살의 6가지 이상과 법신보살의 4가지 주상과 보살지진의 3가지 생상을 순차적인 식의 전변으로 가시화시키면서 유식의 기본 구조로 주석하며, 법장은 몇 가지 내용만 제외하고 원효설을 그대로 답습하지만 4상을 식의 순환으로 주석하고 말라식을 인정하지 않는다.

    영어초록

    The Explanation(「解釋分」), a key part of The Awakening of Faith(『大乘起信論』) reveals the true doctrine(正義) of the book.
    It divides the Soul as Suchness(心眞如, 眞如門, bhūtatathatā) and the soul as birth-death(心生滅, 生滅門, samsāra), and builds all-conserving mind(阿梨耶識, ālayavijñāna) as the source of two.
    All-conserving mind has a double-sidedness, the enlightenment(覺) and the non-enlightenment(不覺) through the enlightenment a posteriori(始覺) as a medium concept. The definite difference between the enlightenment and the non- enlightenment is due to the form of the cognition.(念相, lakṣaṇa)The Explanation also explains practicer's mental positions, the forms of the cognition. the coarseness and subtleness of cognition, and the different names and characters of the enlightenments attained in each positions of the practicer.
    At the 1st, There are 4 kinds of practicer's mental positions as like; 1.common people(凡夫), 2.śravakas, pratyekabuddhas(二乘) and bodhisattvas who have just entered their course(初發意菩薩), 3.boddhisattvas of the Dharmakāya(法身菩薩), 4.those who have transcended the stage of boddhisattvahood(菩薩地盡) and buddhas(佛).
    The Awakening of Faith, then, explains the differences of the forms of the cognition(念相, lakṣaṇa) which are called as the disappearing form(滅相) of the cognition in the state of common people, as the changing form(異相) of the cognition in the state of śravakas, pratyekabuddhas(二乘) and bodhisattvas who have just entered their course, as staying form(住相) of the cognition in the state of boddhisattvas of the Dharmakāya, as the beginning form(生相) and moving form(動相) in the state of the cognition in the state of boddhisattvas of the Dharmakāya, fainally, as the non-form (無相) of the cognition in the state of those who have transcended the stage of boddhisattvahood and buddhas.
    After then, the cognition, or the activity of it after the state of boddhisattvas of the Dharmakāya is divided into 2 kinds as like the coarseness and subtleness. At that time, the subtle activity of consciousness is due to the moving of the original non-knowledge(根本無明).
    Fainally, The Awakening of Faith explains the different names and characters of the enlightenments attained in each positions of the practicer.
    The enlightenment in the state of common people is not true one, even though it is called as the enlightenment.
    The enlightenment in the state of śravakas, pratyekabuddhas and bodhisattvas who have just entered their course is called as the enlightenment in apperance(相似覺). The enlightenment in the state of boddhisattvas of the Dharmakāya is called as approximate enlightenment(隨分覺). The enlightenment in the state of those who have transcended the stage of boddhisattvahood and buddhas is called as the abslute enlightenment(究竟覺).
    Won-hyo, explaining this part in his comment, write on 7 factors consisting of the disppearing form in detail. He also explains that the changing form which is achieved by śravakas, pratyekabuddhas(二乘) and bodhisattvas who have just entered their course, is not the complete achivement of I-void(我空), but the achivement free from the restriction due to the conception I(ātman).
    He explains that boddhisattvas of the Dharmakāya have a complete achievement both of I-void(我空) and dharma-void(法空).
    He also explains that practicer in the state of those who have transcended the stage of boddhisattvahood, understanding that the original non -knowledge(根本無明) does not move in truth, knows the state of nirvana In other way, Fa tsang, going along with Won hyo's explain, adds other supplementary explain in his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