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 주요 국가들의 민방위 제도 실태분석과 정책적 함의 (Analysis of Civil Defence Systems in Major European Countries and Policy Agend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6 최종저작일 2009.03
32P 미리보기
유럽 주요 국가들의 민방위 제도 실태분석과 정책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독사회과학논총 / 19권 / 1호 / 89 ~ 120페이지
    · 저자명 : 박동균, 김도균

    초록

    영국,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과 같은 유럽 선진국들은 9․11 테러 이후 급변하는 국제테러단체의 위협과 재난의 국제화 및 세계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목적으로 2003년을 기점으로 민방위 관련 법률을 개정하거나 기존 민방위 관련 법률에 재난관리 영역을 추가하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였다. 또한, 연방정부와 지방정부로 이원화되어있던 재난관리 행정체계를 대폭 개선하여 연방정부 차원에서 일원화하는 기구를 설립하거나 몇 개의 재난관리 부서를 통폐합하여 단일기구로 개편하는 등 민방위 제도와 재난관리를 포괄하는 거시적 차원의 민방위 제도를 탄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럽 선진국들의 민방위 제도의 실태에 대해 민방위 관련 법률의 변천과 각 국의 민방위 관련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민방위의 목적 및 목표, 그리고 민방위 전담 기구 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 민방위 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재난관리 속성상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하여야만 효율적인 행정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해 줄 재난관련법령 상호간의 통일성과 종합성이 결여되어 재난예방과 재난발생시 행정기관간의 업무협조가 곤란한 실정이므로 민방위 및 재난관리 관련 법률들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자연재해, 인적재난, 민방위, 국가핵심기반체계 보호, 사이버테러, 생물학적 재난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안보개념의 민방위 및 재난관리 관련 기구의 일원화 및 전문화가 필요하다. 셋째, 민방위 조직이 만약에 있을 지도 모를 북한의 도발 등 국민의 안보의식 고취를 위한 조직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세계화되어지는 테러,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조직으로의 위상이 재설정되어야 한다. 넷째, 민방위 교육은 민방위 대원 중심의 교육에서 대국민교육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방위훈련이나 학교교육에서 민방위교육을 병행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국민의 안전생활을 보장하며, 이를 통한 국민의 신뢰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영어초록

    The major developed European countries such as 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Switzerland and so on have changed their own civil defence systems since 2003 so as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threat of international terrorist organizations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disasters actively after 9/11 attack. To develop civil defence systems including the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most of them have newly enacted or revised their civil defence act. In addition, some have also unified the administrative systems concerned about civil defence which was divided into the fede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local government. Others reorganized several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s as a single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history of civil defence act, the definition of civil defence, the organizations of civil defence and so on in major developed countries to present better direction of development on the civil defense system in Korea.
    First of all, although comprehensive or systematic approach and efficient public administr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are needed due to the attribute of the disasters, the support lines between disaster-related laws are not fully sufficient to induce administrative cooperation and prevent disasters when they occur. Therefore, civil defence and disaster-related laws should be rearranged sooner or later.
    Second, the unified and specialized agency related with civil defense and disaster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it also have a comprehensive concept of security including natural disasters, man-made disasters, civil defense, protecting national core-based systems, cyber attacks, biological disaster.
    Third, Korean civil defence should be reset as an organization to promote security awareness from North Korea's provocation as well as one to protect citizens from globalized terrorism and disasters.
    Lastly, civil defence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not for only civil defence members but for all of the Korean people as public education. For this end, civil defense plan should be a combination of school education and life, ensure the safety of the people actively, and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people o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독사회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