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정기 미국의 대(對)한반도 점령 정책: 1945-1948 (An Evaluation of the U.S. Occupational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1945-1948)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4 최종저작일 2009.02
39P 미리보기
군정기 미국의 대(對)한반도 점령 정책: 1945-1948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0권 / 2호 / 5 ~ 43페이지
    · 저자명 : 신복룡

    초록

    이 논문은 미군정기(1945-1948)의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기저(基底)를 탐구하기 위해서 쓰인 글이다. 이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미국에 대하여 한국은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글은 한국에 대하여 미국은 누구인가?’라는 전통적인 물음과 출발을 달리 하고 있다. 이 글은 전자의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대답을 준비하고 있다.
    [1] 한국에 대한 미국의 의미는 늘 막중했다. 그런 반면에 미국에 대한 한국의 의미는 그리 높지 않았다. 이러한 상관 관계가 한미관계를 불평등하게 만들었고, 그런 점에서 미국은 한국의 망국으로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비극에 대하여 일정한 책임이 있다.
    [2] 해방 정국에서 미국에 대한 한국의 의미는 일본의 종속 변수로서의 가치를 갖는 것이었다. 미국은 전후 처리 과정에서 일본 전역을 점령한 데 대한 포만감을 가지고 있었고, 일본에서의 이익을 지킬 수 있다면 한반도에서의 이익을 양보할 뜻이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한국의 분단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미국은 한반도를 대일 정책의 희생양으로 고려한 측면이 있다.
    [3] 미국은 동아세아에서 반공 보루로서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서의 한반도의 의미를 주목했다. 한반도의 공산화는 일본의 방위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태평양호」의 일각이 무너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1945-1950년의 상황에서 미국은 태평양을 자신들의 내해(內海)로 만들고 싶어 했다. 한반도는 그 호수의 일각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4] 한반도는 미국이 사회주의권에 보여줄 수 있는 민주주의 전시장으로 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그 일환으로 남한에서의 의회민주주의의를 구현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우월성을 공산권에 보여주고 싶었다. 그러나 남한 정치인들의 극좌화∙극우화와 소승적 욕망, 정치적 역량의 부족은 미국이 구상한 의회민주주의를 구현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 아울러 미국은 한국에서의 민주화 보다는 반공화에 더 높은 가치를 둠으로써 남한 정부의 권위주의화에 묵시적으로 기여했다.
    [5] 미국의 대극동(한국) 정책의 기조는 육지에 상륙하지 않으며, ‘섬의 고리’에 기초를 두고 있는 해∙공군 우선 전략에 의하여 이곳을 방어한다는 것이었다. 극동 대륙에 대한 미국의 기본 인식의 밑바닥에는 극동이야말로 늪(swamp)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으며, 그러한 인식이 대표적으로 표현된 것이 애치슨라인이었다. 이러한 원칙은 그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기조를 이루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the base of U.S. occupational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1943-1948. This article was focused on the question, “What was the meaning
    of Korea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different question of traditionalists, “What was the meaning of the United
    States toward Korea?” This paper prepared an answer to the former question.
    [1] The meaning of the U.S. toward Korea has been always significant. On
    the other side, the meaning of Korea toward the U.S. was less high. This
    mutual relationship made the Korean-American relations unequal. In some
    respects, the U.S. was responsible to a series of tragedies in the contemporary
    Korean history from fall of the late Korean Empire to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2] During the liberation age (1945-1948), the meaning of Korea toward the
    U.S. was a kind of dependent variables to the U.S. interest in Japan. In the
    process of post-war policy, the U.S. was satiated with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Islands. Therefore the U.S. was willing to give up interests in Korea
    to keep them in Japan. In this respect, the U.S. considered the Korean
    peninsula as a scapegoat for her policy toward Japan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Korea.
    [3] The U.S. evaluated the Korean peninsula as an anti-communist fortress
    in the Far East Asia. The commu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not
    only be a direct menace to the defence of Japan but also the ruin of a bank of
    “the Pacific Lake.” Under the circumstances of 1945-1950, the U.S. wanted
    to make the Pacific “an American Lake.” Korean peninsula had the meaning
    of a bank of the American Lake.
    [4] Korean peninsula had a meaning of show-window of Western
    democracy to show to the socialist bloc. As a part of the grand design, the U.S. wanted to show the predominance of democracy by the constitution of
    parliamentary democracy in the South Korea. However, the extreme left-right
    struggle, their selfishness, and lack of political capability were obstacles to the
    U.S. idea of parliamentary democracy. After that, the U.S. government put a
    priority of anti-communist policy to democratization, and consequently gave
    implicit assent to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in the South Korea.
    [5]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Far East [Korea] was based on the
    defence by the strategy of “the chain of islands” and the strategy of air/naval
    forces priority, which means the reluctance to land on th East-Asian
    continent. U.S. basic concept on the Far East was that the Far East continent
    is “a swamp.” So-called Acheson’s defensive perimeter was off-spring of
    such a strategy. This concept has been consistent in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Far E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정치외교사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