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굿과 무당굿의 연관성에 대하여 - 충청도 제천 오티마을 별신제와 충청도 사혼굿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Maeulgut and Mudanggu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2
28P 미리보기
마을굿과 무당굿의 연관성에 대하여 - 충청도 제천 오티마을 별신제와 충청도 사혼굿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18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허용호

    초록

    본고에서 필자는 충청도 마을굿과 무당굿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 연관성에 접근하는 본고의 방식은 직접적인 실례에 의한 증명보다는 추론에 의한 것이다. 마을 공동의 제의인 마을굿과 개인적인 제의라 할 수 있는 가정의 무당굿 간의 어떤 논리적 연관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 된다. 이를 위해 대상으로 삼은 것은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오티마을에서 행해지는 별신제이다. 충청도 지역에서 행해지는 사혼굿 역시 본고의 논의 대상이 되었다. 논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오티마을 별신제 거리풀이와 충청도 사혼제에서는 처녀 귀신과 총각 귀신이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두 연행에서 처녀․총각 귀신을 대하는 태도는 전혀 다르다. 거리풀이의 경우 마을 재앙의 원흉으로 취급되며 위협받고 얻어맞으며 쫓겨난다. 반면 사혼굿에서는 달래지고 배려받으며 혼례를 치른 후 저승으로 가게 된다. 이러한 거리풀이와 사혼굿의 다름은 마을굿과 무당굿 혹은 마을신앙과 무속신앙의 다름에서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름은 어떤 같음이 있기 때문이다. 같음을 따져 보기 위해서는 미혼의 사령을 대하는 민속신앙 차원에서의 논의가 필요하다. 즉, 원혼신앙이라는 측면에서 따져볼 수 있다. 원혼신앙이라는 입장에서 본다면, 총각ㆍ처녀의 혼령을 대하는 태도는 마을신앙이나 무속적 가정신앙이 유사하다. 일시적 퇴치 양상과 진혼을 통한 존재 전환의 두 양상이 각각 함께 나타난다. 오티별신제 거리풀이는 마을신앙의 한 측면이 나타난 것이며, 충청도 사혼제 역시 무속적 가정신앙의 한 측면이 나타난 것일 뿐이다. 다름은 나타난 측면의 다름일 뿐이며, 원혼신앙의 차원에서 본다면, 마을신앙이나 무속적 가정신앙이나 서로 다른 두 측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 발생론적으로 보았을 때, 오티마을 별신제 거리풀이라는 마을굿을 통하여 처녀ㆍ총각귀신의 존재 상황을 제시하고, 이를 사혼굿이라는 무당의 굿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식의 논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 공시적으로 보았을 때 서로 대조적인 것으로 보였던 원혼신앙의 두 측면이,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본다면, 처녀귀신과 총각귀신을 제대로 해원시키고 천도시키지 못 할 때, 거리풀이에서처럼 한낱 잡귀로 대우받는다는 인식이 확장되고 확산될 수 있다. 마을굿을 통한 역설적 드러냄과 무당굿을 통한 해결이라는 유기적 연관성이 여기서 도출된다. 공시적으로 본다면, 원혼신앙을 이루는 두 측면을 대표하는 것이 거리풀이와 사혼굿이다. 그리고 발생론 혹은 원혼의 인식과정으로 본다면, 거리풀이와 사혼굿은 밀접한 상보적 관계와 순환 논리적 체계 혹은 유기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거리풀이와 사혼굿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두 제의는 논리적으로 긴밀하게 연관된다. 민속신앙, 구체적으로 원혼신앙의 논리에 의해 긴밀하게 연관되는 제의들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Maeulgut and Mudanggut in the Chungchung-do.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re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Soul marrage ritual).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In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appear in common. However the attitude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have quiet different in the two performance.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are expelled, being treated as a ringleader of disaster in case of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On the other hand,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have been response of soul and go to heaven in case of the Chungcheong-do Sahongut. This difference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Maeulgut and Mudanggut or village belief and shaman belief. By the way this difference is supposing a commonness. For the commonness, an argument of single departed soul is necessary as a matter of folk belief. In other words, an argument of revengeful spirits belief is needed. From the point of view of revengeful spirits belief, the attitude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are alike in the village belief and shaman belief. Two aspects which are temporary elimination and response of soul are appear in common each. From the point of view of synchronic,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are representative of two aspects which constitute revengeful spirits belief. And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are rel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volution theory. The logic which a situation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is presented through performance of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n that situation is settled by performance of the Chungcheong-do Sahongut may be possible. Inversely, when it is not settle an account of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the understanding which treat maiden ghost and bachelor ghost like evil spirits as case of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may be spread. A systematic relation which revealed paradoxically in the Maeulgut performance and then is settled in the Mudanggut performance is deduced in this point. At last the Ohti Baelsinje Georipuri and the Chungcheong-do Sahongut are not different each other. Two ritual are related logically. They are ritual which are connected by the logic of folk belief, concretely revengeful spirits belie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