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성 마약류 중독자의 애착 외상으로 인한 중독과 회복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9.25 최종저작일 2023.08
40P 미리보기
남성 마약류 중독자의 애착 외상으로 인한 중독과 회복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학회
    · 수록지 정보 : 矯正硏究 / 33권 / 2호
    · 저자명 : 유숙경, 이삼영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애착 외상 경험과 중독
    2. 애착 외상 경험과 마약류 중독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윤리적 문제와 타당성 제고 전략
    Ⅳ. 연구 결과
    1. 개방 코딩
    2. 조건・상호작용 결과 매트릭스
    3. 핵심범주
    Ⅴ. 결론 및 논의

    초록

    본 연구는 어린 시절과 성장기에 주요 양육자로부터 애착 외상을 경험한 남성 마약 류 중독자들의 마약류 중독과정과 회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남성 마약류 중독자들이 경험한 애착 외상과 마약 중독과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제시 하고자 하였으며,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 역시 손상된 애착의 재구성이 어떠한 맥락에 서 중독에서의 회복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연구참 여자들이 경험한 애착 외상과 마약류 중독과 애착 재구성으로 인한 중독회복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실천 이론을 생성함으로써 중독과 애착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이론적 표집으로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된 남성 9명을 선정 하였고, 1 대 1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rbin과 Strauss(2014)가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3개 의 개념, 19개의 하위 범주,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애착 외상, 마약 중독, 마약 중독에서 회복까지의 조건과 과정, 작용/상호 작용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범주들을 연구하고자 하는 상황에 따라 각 수준의 관계를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 과, 매트릭스에 배열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구참여자들의 마약류 사 용과 중독은 어린 시절 불안정 애착과 애착의 상실로 인한 상처로부터 회피 과정이었 으며,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 역시 새로운 대상과 애착을 재구성함으로써 회복의 힘을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에서는 숨어 우는 상처 입은 아이의 자기 존재의 부 활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애착 외상과 마약류 중독 그리고 애착의 재구 성과 마약류 중독에서의 회복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또한, 교정시설에 수감 된 마약 류 중독자의 회복을 돕기 위한 애착 회복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utilize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o examine the path of addiction and recovery in male individuals with drug dependence, who experienced attachment trauma from a primary caregiver during their childhood and developmental years. The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propose the connec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drug addiction among male drug addicts. It also seeks to analyze how the reconstruction of impaired attachment contributes to the recovery process from drug addiction, within the context of addiction recove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ather fundamental information to enhance comprehension of addiction and attachment. This will be achieved by constructing a practice theory that explains the experiences of research participants with attachment trauma, drug addiction, and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addiction, all within the context of attachment reformation. Selected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the participants included nine men who had overcome drug addiction. Data was gathered through in-depth one-on-one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ology as proposed by Corbin and Strauss(2014). The analysis of the data yielded 53 concepts, 19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These categorie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attachment trauma, drug addiction, factors and procedures contributing to drug addiction recovery, and interactions and interplays. These categories were subsequently organized into conditions, interactions/interplays, outcomes, and a matrix, determined by their relevance levels to the research contex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articipants’ drug use and addiction were processes of avoidance stemming from childhood experiences of insecure attachment and attachment loss, leading to emotional wounds. Moreover, recovery from drug addiction also nurtured the power of recuperation through the reformation of new targets and attachments. Finally, the core category suggested the resurgence of self-presence of the wounded child who cries in hiding.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discussions were held regarding attachment trauma, drug addiction, the reconstruction of attachment, and recovery from drug addiction. Additionally, a proposal was made for the development of an attachment recovery program aimed at assisting the recovery of drug addicts confined in correctional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矯正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