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도 청해진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7.03 최종저작일 2022.09
25P 미리보기
장도 청해진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성곽학보 / 27권
    · 저자명 : 정의도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장도유적과 축조시기 검토
    1. 장도 개관
    2. 장도유적 조사성과
    3. 장도유적의 조성시기 검토
    2. 장도유적의 조성시기
    Ⅲ. 삼국사기 제사조 검토-조음도, 청해진, 장도
    Ⅳ. 장도유적의 성격
    Ⅴ.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장도유적은 통일신라 장보고의 해상유적으로 알려져 있고 장기간에 걸친 발굴조사를 거 쳐 당시에 축조된 토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조사 결과를 검토한 결과 828년 청해진 설치 에 따라 축조되었다고 보고된 장도토성(청해진성)의 기단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대부분 10~12세기경으로 편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도토성의 축조 시기는 당연히 출토유물이 폐기되고 난 다음 시기인 12세기 이후로 판단되고 9세기 전반에 폐지되는 청해진유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즉 장도토성은 토성 기단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축조시기가 12세기 이전으로 소급 될 수 없고 2~3차에 걸친 수측흔과 상감청자도 출토되고 있는 고고학적 상황도 장보고 관 련 유적이 될 수 없다. 또한 장도토성은 내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4기의 방형 치(雉)가 부 가되어 있는 점, 섬 앞으로 원목렬을 설치하고 우물을 보호하는 시설을 설치한 것은 항몽시 기 항파두성의 구조와도 상당히 부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항몽 시기에 송징장군이 완도를 거점으로 활동하였으며 해방 이전까지는 마을마다 송징장군의 제사를 지냈는데 장군을 주벽에 모신 사당이 장도에 남아 있었던 것, 장도 인근 에 위치한 법화사에 사역을 두르는 담장이 축조된 배경과 장도토성의 축조시기와 구조 등을 감안하면 고려의 항몽유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장도토성 내부에는 장도토성 축조 이전에 이미 건물지와 수혈, 매납유구 등이 조성 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도기를 주종으로 하는 다양한 제사유물이 출토되었고 그 시기 는 9세기 후반 이후가 중심시기가 된다. 이것은 장도가 삼국사기 제사조에 기록된 중사 처 중의 하나로 기록된 조음도일 가능성이 높고 고려 전기까지 계속하여 제사가 이루어진 것으 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도는 통일신라시대의 중사처였다가 고려의 대몽항쟁기에는 섬 을 둘러 토성이 축조된 것으로 장도에는 성격을 달리하는 두 시기의 유적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uins of Jangdo are known as the maritime ruins of the Unified Silla Jangbogo and after a long period of excavation, the earthen ramparts, which were constructed at the time, was reported. However, after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most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contraction process or base of the Cheonghaejinseong, which were reported to have be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eonghaejin installation in 828, are mostly dated to around the 10th and 12th centuries. Therefore,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Jangdo Eathern Ramparts, also known as Cheonghaejinseong, is of course judged to be from the 12th century, the period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excavated artifacts. In other words, since Jang Do-Eathern Ramparts are an excavated relic from eathern rampart's base, the construction period cannot be retroactively traced back to before the 12th century, nor can it be a relics related to the Jangbogo that the water scars and inlaid celadons over the 2nd and 3rd periods are also excavated. In addition, unlike Cheonghaejinseong that had little reason to defend against the invasion of external enemies, Jangdo eathern ramparts are composed of internal and external castles, and 4 square dimensions were added, and the installation of a wooden line in front of the island and a facility to protect the wells are thought to be quite consistent with the structure of the castle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the Hangpaduseong Fortress[缸波頭城] during the anti-Yuan relic. And given the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Jangdo Earthern Ramparts and the post-12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say for sure whether Jangdo Earthern Ramparts are related to General Song Jing, which is still in the records. However, the fact that General Song Jing was based in Wando during the Anti-Yuan period, and that before the liberation, each village held a sacrifice of General Song Jing, and that the shrine housed the general on the main wall still in Jiangdao, etc., is thought to be quite possible that Jangdo Eathern Ramparts will be seen as an anti-Yuan relic.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that the interior of Jangdo Eathern Ramparts had already been constr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Jangdo Eathern Ramparts, where building land, blood transfusions, and burial mounds were already constructed, and various ceramics as the main species of pottery were excavated, and the period is the central period after the late 9th century. It is judged that this is likely to be an articulation diagram in which Jiangdo is included as one of the middle national rites of Unified Sh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성곽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