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Jamnyo’s1 bulteok - < place of fire > for Jeju women divers - A Healing Culture - A paper presented at the 3rd Jeju World Peace Academy & the 18th Peace Island Forum, Jeju, December 1, 2018

1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6.19 최종저작일 2018.12
12P 미리보기
Jamnyo’s1 bulteok - < place of fire > for Jeju women divers - A Healing Culture - A paper presented at the 3rd Jeju World Peace Academy & the 18th Peace Island Forum, Jeju, December 1, 2018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섬학회
    · 수록지 정보 :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 8권 / 4호
    · 저자명 : Ok-kyung Pak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Position of this paper: Colonial mentalityannihilating women divers
    Jamno’s place in Jeju society
    Bulteok (fire place) - the symbol of Jamnyo’ssocial model
    Community vs. individual survival: Divers’fierce struggle to maintain a communitywith mythology (a common ancestress) andregulations protection of natural resources)
    World view and life style of divers and Neo-Confucian values
    Jamnyo’s role in the struggle betweenindigenous ideology (shamanism) and theoutside forces (Neo-Confucian ideology)
    Divers’ contribution to Jeju economy during the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2)
    Jeju Jamnyo’s Bulteok - social model ofhealing culture

    영어초록

    This paper is based on the author’s book, <The Jamnyo (Jeju women divers) of Korea, Neo-Confucianism and Dual Mythology> (2018). It was published in English and French verion by the Cultural Foundation Barbier-Mueller Museum in Geneva, Switzland. The particularity of the book is that it is the first of its kind that introduces in foreign language Jeju academic discourses (published since 1950’s, but not known outside of Korea)) on various topics, such as Jeju women divers, mythology, kinship system, shamanism and the influence of the Neo-confucianism on Jeju, imported from the mainland, combined with data collected among a divers' community in the small island of Udo, Jeju in 2016. This article presents two stances of the author regarding Jeju: (1) a feminist point of view on Jeju women divers and their contribution to Jeju society by presenting the island as a <women centred society>; (2) an activist point of view by presenting the history of Jeju and its people as a struggle against the centre by the periphery and dominated by different colonial powers over 1000 years. The article proposes jamnyo’s fireplace (bulteok) as a social model for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