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dex of Greenness according to Spatial Classification of a Traditional Area and a New Urban Area of a City - A Comparison between Dunsan of Dae

1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7.09
12P 미리보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dex of Greenness according to Spatial Classification of a Traditional Area and a New Urban Area of a City - A Comparison between Dunsan of Dae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휴양 및 경관연구 / 11권 / 3호
    · 저자명 : Jinah Park, Byungho Lim, Shiyoung Lee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s
    2.1 Index of Greenness Applied Case
    2.2 A Study on the Change of Outdoor Space inMultifamily Housing Estates through the PriorStudies
    3. Methods
    3.1 Research Scope and Targets
    3.2 Analytical Methods
    4. Results and Discussions
    4.1 Space Analysis Results
    4.2 Regional Analysis Results
    5. Conclusions
    References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area” of Dunsan in Daejeon, and 22 apartment complexes in Doan new city in the “new urban area”. Its goal was to compare and analyze green percentage of each apartment complex’s exterior space. Th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green percentage were examined.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exterior space types of apartment housing were divided according to chronical change. Five kinds of space (entry space, main pedestrian space, auxiliary pedestrian space, building surroundings space, and playground space) were designated to enable comparison analyses between green-space percentages of the apartment complex in both the Dunsan and Doan areas. Five exterior spaces and 22 apartment complexes in the Dunsan area and in the Doan new urban area were photographed. This study serves as a basic exploratory study to derive the baseline Index of Greenness results of traditional area and new urban area, addressing the lack of such research on the residential facilities. The study also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eenness indexes with respect to shape and space. Compared with the average rates of index of greening in traditional areas and new urban areas, Doan (a new urban area) showed an Index of Greenness rate of 34.1%, and Dunsan (a traditional area) showed an Index of Greenness rate of 40.5%, which was 6.4% higher. It is considered that the shape of each green space, the arrangement of various facilities, and the design of the spac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ifferences of the Index of Green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