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용자 처우에 관한 각종 국제규칙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5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수용자 처우에 관한 각종 국제규칙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학회
    · 수록지 정보 : 矯正硏究 / 26권 / 2호
    · 저자명 : 금용명

    목차

    Ⅰ. 서론
    Ⅱ. 「수용자 처우에 관한 유엔최저기준규칙」의 역사적 전개
    1. 「수용자 처우에 관한 유엔최저기준규칙」의 제정과정과 그 이후의 추이
    2. 「유럽교정시설규칙」의 제정 및 개정
    Ⅲ. 「수용자 처우에 관한 유엔최저기준규칙」의 개요
    1. 1929년 국제형법 및 형무위원회에 의한 「피구금자처우규칙 초안」
    2. 1955년 유엔의 「피구금자처우최저기준규칙」
    3. 1973년 「유럽피구금자처우최저기준규칙」
    4. 1987년 「유럽교정시설규칙」
    5. 2006년 「유럽교정시설규칙」
    6. 2015년 「수용자 처우에 관한 유엔최저기준규칙」
    Ⅳ. 그 밖의 교정관련 국제규칙의 개요
    1. 수형자 처우를 위한 기본원칙
    2.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국제인권B규약)
    3. 교도작업에 관한 권고
    4. 개방교정시설에 관한 권고
    5. 형태를 불문한 억류・구금 하에 있는 모든 사람의 보호에 관한 원칙
    6. 외국인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권고
    7. 고문 및 그 밖에 잔학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인 처우 또는 처벌로부터 피구금자 및 피억류자를 보호하는 보건직원, 특히 의사의 역할에 관한 의료 윤리원칙
    8. 법집행 공무원 행동규약
    9. 형사 및 교정시설 직원의 선발과 교육훈련에 관한 권고
    10. 법집행 공무원의 강제력 및 무기사용에 있어서의 기본원칙
    Ⅴ. 결어
    참고문헌

    초록

    「수용자 처우에 관한 유엔최저기준규칙」은 각국 행형시설의 관리, 수용자 처우 등 행형운영과 관련된 업무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지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1955년 채택된 이후 수용자의 구금에 대한 최저기준으로서 각국의 행형과 관련한 입법 정책수립, 실무에 대한 지침으로서 그 가치와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우리나라는 2007년 「행형법」을 전부 개정하였으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의 배경에는 수용자의 인권에 배려한 수용생활을 영위하도록 함으로써 건전한 사회복귀와 권리보호를 도모한다고 하는 유엔최저기준규칙의 원칙과도 깊게 관련되어 있다. 유엔최저기준규칙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회에 걸쳐 정부간 전문가 회합을 개최하여 개정에 대한 논의가 행해졌으며 유엔 범죄예방 및 형사사법위원회는 2015년 5월 18일부터 22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제24차 회의에서 동 규칙에 대하여 합의를 하고, 같은 해 12월 17일 유엔총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어 오랜 개정의 숙원사업을 달성하였다. 개정된 유엔최저기준규칙은 형사사법의 인간화와 인권보호에 대한 유엔의 지속적인 노력에 입각하여 1955년 이후 수용자 처우에 관련된 국제법의 점진적인 발전을 반영하는 한편, 수용자 처우와 관련된 유엔의 각종 규칙과 소년사법과 여성 등 특수한 상황의 수용자에 대한 유엔의 각종 성과에 입각하고, 유럽ㆍ미주ㆍ아프리카 등 수용자 처우에 관한 각 지역의 원칙과 기준을 반영하였다. 또한 수용자의 안전과 보안, 인도적 환경을 유지하면서 최근 교정학 분야의 진보를 반영하였다. 여기에서는 국제적 수준의 형사정책의 필요성과 더불어, 수용자의 처우를 둘러싼 이론과 실천, 특히 지금까지 세계 각국의 수용자 처우의 이론과 실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유엔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관련 규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fundamental guidelines on administration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reatment of prisoners. It has influenced related policies and its’ appliances in many countries since 1955, the year of its enforcement. Korea ever made an overall revision on「Execution of prison sentence act」 in 2007 according to the concept of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Also, the standing 「Administration and treatment of correctional institution inmates act」 and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are connected each other in the aspect of helping prisoners’ rehabilitation into the society by protecting their rights during the confinement. Four conferences have been made for the revision of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from 2012 to 2015. CCPCJ(Commission on crime prevention and criminal justice) finally came to an agrement on its revision for the 24th conference which is held in Vienna, Austria in May of 2005 and on December 17th of the same year, UN General assembly officially adopted the revised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This revised version is mirroring the gradual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s on treatment of prisoners-especially minors such as juvenile jurisprudence, regionally various principles and standards in Europe, America, Africa, etc. Moreover, it is reflecting the latest progressions made in correctional science. Here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necessity of Criminal policy at international level and the series of regulations made around UN which having influence on theories and administrations concerning treatment of prisoners all over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矯正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