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 -도상(圖像; 형태·문양)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5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22.12
56P 미리보기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 -도상(圖像; 형태·문양)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콘텐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예술연구 / 20권
    · 저자명 : 조원교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금관의 형태와 그 해석
    Ⅱ. 금관의 형태와 그 해석
    1. 나무 형태
    2. ‘산’자 모양(‘山’字形)의 나무 형태
    3. 연꽃 모양(蓮華形)
    4. 곡옥(曲玉)과 영락(瓔珞)<(도4-1) 등>
    5. 사슴뿔 모양
    6. 수식(垂飾)
    Ⅲ. 금관의 문양
    1. 연속 점선문(도1-3)(도2-3)(도3-3)(도4-3)
    2. 연속 덩굴 연화문(도1-3)(도3-3)(도4-3)
    3. 연속 삼각문(도1-3)(도4-3)
    4. 원문(圓文)(도4-3)(도34)∼(도37)(도4-3)
    Ⅳ. 금관 도상(형태·문양)의 보편성 확인·연구 보완
    Ⅴ. 일본 출토 금동관에서 삼국시대 금관・금동관의 도상확인
    Ⅵ.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초록

    신라 금관(특히 경주 출토 5점)은 신라 최고위층이 사용한 최고 품격의 모자이다. 이들은 원형 관테의 위로 세운 장식인 입식(立飾)과 아래로 드리운 장식인 수식(垂飾)이 중심이 되는 형태이고 그 표면에는 다수의 곡옥(曲玉)과 영락(瓔珞)을 매달 고 점선문・점열문・원문・삼각문・덩굴문 등의 문양들을 점으로 표현하였다. 이 중에서 입식은 나무 모양을 도안한 세 산자 모 양<山字形. 또는 출자 모양出字形>과 두 사슴뿔 모양이다. , 필자는 이 논문에서 신라 금관의 형태(나무・사슴뿔・연꽃・곡 옥・영락・수식)과 문양(삼각문・덩굴문・원문) 모두가 기(氣・기운・ 기력)와 생장(生長) 표현이라는 주장을 거듭 주장, 강조하였다.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은 생동감・생명력・힘・성장・발전 나아가 신이와 화생(化生)까지도 아우른다. 신라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을 분석하면 첫째 입식(나무와 사슴뿔) 등의 형태를 기와 생장의 대표 주자인 연꽃 모양으로 변형한 것, 둘째 금관 표면에 우리 겨레 역사문화강역 안 신석 기・청동기시대부터 기와 생장을 대표하는 삼각문・덩굴문・원문 을 표현한 것 셋째 기와 생장 표현 모두를 연꽃으로 인식하고 상호 동격・교호(交互)・호환 관계로 표현한 점이다. 신라 금관의 대표적인 모습은 ‘산(山’)자 모양 입식이다. 이는 위로 자라는 나무의 도안에 기와 생장 표현 등을 결합한 도안 인데 이를 분석하면 첫째 기와 생장이 중앙에서 외곽으로 전개 되는 모습 중 네 방향 표현(줄기와 가지이기에 네 방향이 됨), 둘째 중앙에서 외곽으로 확산되면서 동시에 아래보다 위쪽으로 향하는 생장하는 표현(금관의 좌우 가지가 갑자기 90도(度) 꺾 여 위로 솟구친 이유) 셋째 기와 생장 표현의 초기 모습인 세 갈래 표현(중앙과 그 좌측과 우측을 함께 보여 주는 첫 모양. 좌우 균형과 안정, 간결・함축을 담고, 삼재三才사상과도 관련 된다. 금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들 은 금관 외에도 당시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유산에 보편적으로 존재하였다. 이웃한 원(原) 중국 역사문화강역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우리 겨레의 세계적・독보적・독창적 역사문화유산인 신 라 금관・금동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은 고대 일본에도 전파되고 영향을 끼쳤다. 주제어: 금관, 기(氣・기운氣運), 생장(生長), 연꽃, 입식(立飾), 수식(垂飾)

    영어초록

    This study argues that the Silla gold crown is an expression of energy ‘gi(氣, vitality, power)’, and growth[生長] through its shape and pattern. The iconography of the vitality and growth encompasses vividness, birth, growth, diffus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something spiritual and marvelous[神異] and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and expression of life). The typical shape of the Silla gold crown, which represent the vitality and growth, is an outstretched ornament of a mountain. This is a pattern that combines the design of trees growing upward with the expression of the vitality and growth. Analyzing, first is the four-direction pattern that expresses stems and branch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nd second is the pattern growing upward rather than downward, which is why the left and right branches of the gold crown suddenly bend 90 degrees and soar upward. The third is a three-pronged pattern, which means the beginning appearance of the vitality and growth. It is the first shape to show the center, its left and right together,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balance, simplicity, and connotation, and is related to the Samjae(三才: Heaven, Earth and Man) thought. The shapes and patterns on gold crowns and caps are the very special expressions accompanied by the vitality and growth and were universal to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t that time, which did not exist in the neighboring ancient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other words, the iconography of Silla’s gold crowns or gilt bronze crowns is a unique heritage of the world and its vitality and growth expressions were especially spread and influenced to ancient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