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수정, 이민정(2017)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의 동향과 실태 고찰” 『외국어교육』 24권 1호, pp.279-321,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강휘원, 강성철(2010) “독일 이주정책의 변화와 사회통합 거버넌스”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권 4호, pp.291-316, 한국정책과학학회
· 고명희(2014) “어휘 시험 유형과 세환효과” 『외국어교육』 21(2), pp.219-151,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김영란(2013)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한국사회』 14권 1호, pp.3-30,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 김영란, 전경옥, 홍기원(2013) “사회통합에 있어서의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프로그램의 역할과 과제” 『다문화사회연구』 6권 1호, pp.81-107,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 김영옥(2010)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통합” 『다문화사회연구』 3권 2호, pp.123-154,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 김종세(2011)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문제점” 『법과 정책연구』 11권 2호, pp.349-368, 한국법정책학회
· (2013) “출입국관리법상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 대한 정책적 소고” 『법과 정책연구』 13권 2호, pp.599-618, 한국법정책학회
· 김준현, 문병기(2014) “이민자 사회통합 서비스 전달체계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권 3호, pp.59-90, 서울행정학회
· 김태원(2010) “다문화현상에 대한 사회통합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 김판준(2013)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기여에 관한 고찰” 『현대사회와 다문화』 3권 2호, pp.207-237,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 김해성(2009) “다문화시대 사회통합의 기초와 의미에 관한 연구”
· 김환학(2013) “이주민의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정책추진체계 독일의 분권적 사회통합체계와의 비교 고찰” 『법과 사회』44권
· 문병기, 라휘문, 한승준(2015) “이민자 사회통합정책 종합진단 및 개선방안” 법무부 연구용역, (사)한국행정학회
· 라휘문(2015) “외국인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의 추진방향: 사회통합기금 및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9권 2호, pp.1-29,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 (2011)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제고방안” 『한국정책연구』 11권 1호, pp.43-63, 경인행정학회
· 라휘문, 김태희, 김승렬(2016)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사회통합 프로그램 분석 및 추진방향” 28권 1호, pp.1-23, 한국지방자치학회
· 박세훈(2011) “한국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정책의 비판적 성찰 : 소수자와 도시 : ‘다문화 도시정책’의 제언”, 『공간과 사회』36권, pp.5-34, 한국공간환경학회
· 박혜숙(2012)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과정 개선방안: 독일 ‘통합과정’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인문학연구』 44권, pp.263-310,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서은숙(2013) “이민・다문화 학생을 위한 학교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윤리학회』 90권, pp.227-256, 한국윤리학회
· 심미경(2016a) “미국 다문화정책이 한국 다문화사회통합 정책과 다문화교육 개선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권 3호, pp.441-460,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2016b) “사회통합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권 4호, pp.1065-108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오예원(2018) “독일 이주자 사회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법학연구』 55권, pp.185-214,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이래호(2015)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구성 체계와 내용 분석” 『영주어문』 29권, PP.347-373, 영주어문학회
· 이선영(2017) “한국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사회통합의 과제와 방향” 『다문화콘첸츠연구』 25권, pp.103-136,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 이성순(2010) “이민자 사회통합정책의 현황과 과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1권 4호, pp.165-187,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2011) “한국과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9권, pp.179-208,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 (2013)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에이거(A.Ager)와 스트랭(A.Strang)의 사회통합분석틀 적용” 『사회과학연구』 24권 3호, pp.161-185,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향수, 이성훈(2017) “프랑스 사례를 바탕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디지털복합연구』 15권 12호, pp.95-100,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이혜경(2018) “외국인근로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와 정책적 함의” 『철학・사상・문화』 26권, pp.213-246,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전영기, 최은수(2014) “사회통합을 위한 호주의 이민정책과 이민자 정착지원프로그램- 성인이민자 영어교육프로그램(AMEP)을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10권 2호, pp.51-75,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HRD연구소
· 정경욱(2016) “사회통합을 위한 국적제도 및 이민제도 개선방안” 『독일문학』 40권 2호, pp.279-298,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조용만, 방성범(2013) “국제결혼이민자의 조기 사회통합증진 방안연구” 『국제정치논총』 53권 3호, pp.465-502, 한국국제정치학회
· 조항록(2011a) “이민자사회통합 정책의 실제와 과제” 『다문화와 평화』 5권 2호, pp.5-31,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 (2011b) “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실제와 과제” 『다문화와평화』 5(2), pp.5-31.
· (2012) “사회통합로그램 한국어 교육의 확대실시 방안 연구” 『이언어학』 50, pp.235-267.
· 허경미(2015)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시민의식과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권 2호, pp.243-274, 한국공안행정학괴
· 허영식, 정창화(2012) “프랑스와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비교분석” 『한독사회과학논총』 22권 1호, pp.71-98, 한독사회과학회
· 황기식, 석인선(2016) “EU의 이민자 사회통합 위기와 통합정책적 시사점” 『국제지역연구』 19권 4호, pp.135-167,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황민철, 문병기(2017) “체류외국인 사회통합교육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1권 1호, pp.55-85, 한국공공관리학회
· 현희, 남윤삼(2018) “독일의 통합을 위한 사회통합강좌” 『독일문학』 145권, pp.221-243, 한국독어독문학회
· 차용호(2008)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방향” 한국이민학회 2008년 후기학술대회 발표논문
· 최연선(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사회통합정책의 현황과 과제” 『임상사회사업연구』 6권 3호, pp.161-179,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 최영미(2015) “독일 이주민 자녀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다문화사회연구』 8권 1호, pp.171-199,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