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미방위비분담금협정(Special Measures Agreement)에 대한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10.28 최종저작일 2016.12
12P 미리보기
한미방위비분담금협정(Special Measures Agreement)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주제선정 이유 및 문제의식

    2. 본론1. 제1~9차 SMA 분석
    1) SMA 발생배경
    2) 제1-8차 SMA협상 패턴분석
    3) 제9차 SMA특별협정에 대한 고찰

    3. 본론2.한미 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 국방비 대비 방위비분담금 비율의 상관관계
    1) 문제의식
    2) 한미 정부별 대북정책과 한국 국방비 대비 방위비분담금 비율 분석
    3) 분석 결과 정리 및 함수 도출

    4. 결론. ‘SMA’ 퍼즐 완성의 결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주제선정 이유 및 문제의식
    한미 양국은 지난 2014년 1월 11일 주한미군 주둔 비용에 대한 한국의 분담금을 9200억 원으로 하는 제9차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SMA)」을 타결했다. 1991년 제1차 SMA를 체결한 이래로 한국의 방위비분담금은 계속해서 증가해 왔으며, 미국의 경제상황과 시퀘스터(sequester)정책에 따른 국방비 삭감 압력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방위비분담금 증가 요구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동맹 및 북한 도발억제 등의 목적 하에 SMA은 지속될 것이므로 SMA를 보고서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처음 주제를 선정했을 때는 지난 1-8차 SMA의 분석을 통해 분담금을 결정지었던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주요 미군 주둔국 사례(일본, 독일 등)의 분담금 현황과 비교해 봄으로써 1조원에 육박해가는 제9차 SMA의 적절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외교(국방) 문제에 속하는 SMA의 특성상 협상과정이나 회의록 등의 자료 접근은 제한돼 있어 협정문을 통한 결과 분석 및 관련된 논문 자료 외의 자료조사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20여 년간 지속되어온 SMA 협상 결과의 변화에 주목하는 쪽으로 보고서 방향을 선회했다. 그 과정 속에서 협상 당시의 한미 정부의 대북 정책이 한국 국방비 대비 방위비분담금 비율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보고서는 지난 제1-8차 SMA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결과에서의 주요 패턴을 찾아보고, 제9차 SMA의 성과를 살펴본 뒤, 한미 양자 정부의 대북 정책의 차이에 따라 SMA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밝히려 한다.

    본론1. 제1~9차 SMA 분석
    가. SMA 발생배경
    한미행정협정(SOFA) 5조 1항에 따르면 주한미군 주둔에 관해 발생하는 비용은 전액 미국이 부담하게 되어 있어 미국의 방위비분담 요구에 대한 정당성은 약하다.

    참고자료

    · 김계동·김학성·김현욱·서주석·윤덕룡·이상현·전성훈·정일준·차창훈·홍용표·황지환. 2012. 『한미관계론』. 명인문화사
    · 김병문. 2000. “민족통합의 역사와 과제”
    · 김세진·노효동 . 2014. “美, 오바마 순방 前 NSC회의…"현 대북정책 수정없다"”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04/27/0200000000AKR20140427001800071.HTML?input=1179m(검색일: 2014. 5)
    · 김영일. 2008, “한미 방위비 분담의 현황과 쟁점”,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제4호
    · 남창희, 2003. “한국의 적정방위비 분담 연구”, 전략논총 제11집
    · 박휘락. 2014. “한국 방위비분담 현황과 과제분석: 이론과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 박휘락. 2013. “주요 미군주둔 국가(한국·일본·독일)의 방위비분담 비교 연구“
    · 우리 사회 연구소. 2013. “방위비분담금 문제점 분석(1)~(6)”
    · http://urisociety.kr/?p=1120 (검색일: 2014.5)
    · 윤지나. 2013. "MB와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 쌍둥이", "한반도 '실망' 프로세스
    · 이연철. 2009. “[특집기획] 부시 행정부 대북정책 8년“,
    · http://m.voakorea.com/a/a-35-2009-01-12-voa17-91370519/1322672.html(검 색일: 2014. 5)
    · 외교부. 2014. “제9차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 타결“, 제266호
    · 외교부. 2014. “대한민국과 아메리카 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 http://www.mofa.go.kr/incboard/faimsif/treaty_popup.jsp?ITEM_ID=C3156CACFB46F5524925701B0024EE07&ITEM_PARENT_ID=E3D18794851BCFA049257003000155E8(검색일: 2014.5.30)
    · 외교통일위원회. 2014. “『대한민국과 아메리카합중국 간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 과 구역 및 대한민국에서의 합중국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 제5조에 대한 특별조치에 관한 대한민국과 미합중국 간의 협정 비준동의안』 검토보고, [참고자료4] 제1차~제9차 방위 비 분담금 결정방식 변화“
    · 정욱식. 2006. “한미동맹의 총체적 재점검이 필요하다”, 통일한국, 특집 한반도 안보 와 비용의 분담
    · 조숭호. 2012. “[툭 터놓고 톡]<6> 이명박 정부 대북원칙 고수,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http://news.donga.com/3/all/20120501/45910417/1 (검색일: 2014. 5)
    · 형혁규. 2014. “제9차 한미 방위비분담금 협상 결과와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 E-나라지표. 2014. “방위비분담금현황”,
    ·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712,(검색일: 2014.5.30)
    · Department of Defense. 2004. “Report on Allied Contribution to Common Defense”
    · Cheon Seongwhun. "The ROK-U.S. military alliance: transformation and change." Confronting Security Challeng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ed., Bruce Bechol Jr., Quantico: Marine Corps University Press, 2011.
    · Schoff, James, Charles Perry, and Jacquelyn Davis. Nuclear Mateers in North Korea: Building a Multilateral Respose for Future Stability in Northeast Asia. Dulles, Virginia: Potomac Books, 2008.
    · Baltrusaitis, Daniel F., Coalition Politics and the Iraq War: Determinants of Choices, Boulder, Co: Firstforum Press, 2010
    · JAPAN Ministry of Defense, Defense of Japan 2013, Tokyo: Ministry of Defense, 2013.
    · Kim, Sung Woo, "System Polarities and Alliance Politics,"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2012.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